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606367
005 20090415152352
007 ta
008 070611s2007 ulka 000c kor
020 a9788970136295g03000
035 a(KERIS)BIB000010917694
040 a221008d221008
056 a510.1924
245 00 a생명 윤리 이야기:b꿈꾸는 과학 도전받는 인간 /d권복규 지음 ;e신동민 그림
260 a서울:b책세상,c2007
300 a188 p.:b삽도(유색);c23 cm.
700 a권복규,e지음
700 a신동민,e그림
950 0 b\13000
생명 윤리 이야기:꿈꾸는 과학 도전받는 인간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생명 윤리 이야기:꿈꾸는 과학 도전받는 인간
저자명
권복규 지음 신동민 그림
발행사항
서울: 책세상 2007
형태사항
188 p: 삽도(유색); 23 cm.

소장정보

청구기호 : 510.19 권45생ㅁ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990055
청구기호
510.19 권45생ㅁ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권복규,
2016-07-11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학과 윤리를 별개로 생각한다. 나 또한 마찬가지였다. 아무리 봐도 서로 공통점이 없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었다. 과학기술은 우리의 삶의 질을 높이면서도 그 의도와 다르게 작용되어 폐해를 불러일으킨다. '황우석 스캔들' 사건처럼 과학자가 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고 노벨의 다이너마이트처럼 원래 의도와 달리 악용해서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과학기술로 인한 인간사회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 과학을 윤리적인 관점에서 볼 필요가 생겼다. 과학이 발전하면서 의료기술이 삶과 죽음을 결정할 수 있는 정도에 다다르게 되었다. 기술이 삶과 죽음을 결정할 수 있음에 따라서 거기에 대한 윤리적인 관점에 따른 의문이 수많이 생기게 되었다. 그래서 생명윤리라는 학문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dna 조작기술, 줄기세포와 복제, 장기이식, 뇌사와 안락사 논쟁에 대해 얘기한다. 현재 개발 중인 기술이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예측하고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생긴 정답이 없는 윤리적 문제(안락사, 뇌사를 죽음으로 볼 것인가)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모든 사람들이 생명윤리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각자의 의견을 말하여 서로의 의견을 좁혀나가 거기에 대한 사회적 규범을 만드는데 일조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문제는 먼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곧 있으면 생길 우리의 삶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