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576651
005 20061123152738
007 ta
008 060920s2006 ulk 000a kor
020 a8984311979g03810
035 a(KERIS)REQ000002752479
040 a221008d221008
056 a30424
245 00 a(21세기에는 바꿔야 할)거짓말 /d정혜신 [외]공저.
260 a서울 : b한계레출판, c2006.
300 a328 p. ; c23 cm.
505 a모든 인간은 '완벽하게' 불완전한 존재다 / 정혜신 -- 국가와 과학의 잘못된 만남 / 김동광 -- 좌파와 우파, 이상한 '이야기꾼'들 / 한홍구, 박노자 -- 기억을 잃어버린 '외계인들'이여 / 김두식 -- 남과 북이 서로에게 하는 거짓말 / 김형덕 -- 정의하는 자와 정의당하는 자 / 정희진 -- 현자의 신화, 경제대국의 신화 / 프라풀 비드와이.
700 a정혜신.t모든 인간은 '완벽하게' 불완전한 존재다
700 a김동광.t국가와 과학의 잘못된 만남
700 a한홍구.t좌파와 우파, 이상한 '이야기꾼'들
700 a박노자
700 a김두식.t기억을 잃어버린 '외계인들'이여
700 a김형덕.t남과 북이 서로에게 하는 거짓말
700 a정희진.t정의하는 자와 정의당하는 자
700 a비드와이, 프라풀.t현자의 신화, 경제대국의 신화
940 a이십일세기에는 바꿔야 할 거짓말
950 0 b₩12000

소장정보

청구기호 : 304 정94거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928989
청구기호
304 정94거 =4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0928990
청구기호
304 정94거 =5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0952031
청구기호
304 정94거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0952032
청구기호
304 정94거 =2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0952033
청구기호
304 정94거 =3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정혜신.
2011-01-16
정혜신, 사람에 대한 거짓말 : 모든 인간은 ‘완벽하게 불완전한 존재다 모든 사람이 다 개별성을 가지고 있는 독립적인 존재라는 것을 잊어버리는 순간에는 상당히 폭력적일 수 있습니다. .. 사람이라는게 관계에 따라서 그 모습이 다 달라집니다. .. 내가 그 사람을다른 상황에서 봤으면 전혀 다르게 인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사실을 늘 기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25 나르시즘이란 자기 자신에게만 지나치게 몰입하는 것입니다. 그것 외에는 아무 관심이 없어요. 그렇기 때문에 나르시즘이 강한 사람들은 항상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희생시킵니다. p.36 나르시즘이 강한 사람들의 지배적인 특징이 투사(프로젝션)입니다. 어떤 경우에도 문제의 근우너이나 책임이 자신한테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남에게 전가해요. p.37 내사(인트로젝션)는 그런 사람들과 아주 극단적으로 반대인 사람들의 특징입니다. 어떤 문제가 있으면 다 내 탓이라고 하는 사람들, 지나치게 죄의식을 갖고 책임감을 느끼는 사람들이지요. 그런 사람들이 우울증에 잘 걸립니다. p.37 인간이 자기를 유지하고 최소한의 자존감을 유지하면서 살아갈 수 있게 하는 것이 자기정체성이지요. 그런데 어린 시절에 주위로부터 최소한의 보살핌이나 절대적인 어떤 무엇이 결여되었을 때 나르시즘적인 성향이 된다고 봅니다.p. 40 딸들이 크면서 엄마도 개별적인 욕구를 지닌 여자로 보고요. … 의도적으로 상대를 한 역할에 고정시키지 않도록 견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p. 51 사람이라는게 남이 잘 들리든 말든 일단 자기가 자기 소리를 들어야 그게 다른 사람한테 전달이 된다고 믿기 때문인 것 같아요. p.55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