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575590
005 20060922133543
007 ta
008 060824s2006 ulk 000af kor
020 a898273192xg04840
020 a8982731970(세트)
035 a(KERIS)REQ000002362716
040 a221008d221008
041 akorheng
056 a84324
100 aLe Guin, Ursula
245 00 a아투안의 무덤 /d어슐러 르 귄 [지음] ; e최준영 ; e이지연 [공]옮김.
250 a2판.
260 a서울 : b황금가지, c2006.
300 a[접지 1장],296 p ; c22 cm.
440 a어스시 전집 = x(The)earthsea cycle book ; v제2권
500 00 b어슐러 르 귄 장편소설
507 t(The)tombs of atuan
653 a어스시a마법사a영미문학a영미소설
700 a최준영
700 a이지연
900 a르 귄, 어슐러
950 0 b₩10000
아투안의 무덤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아투안의 무덤
판 사항
2판.
총서명
어스시 전집 = x(The)earthsea cycle book ; v제2권
발행사항
서울 : 황금가지, 2006.
형태사항
[접지 1장],296 p ; 22 cm.
주기사항
기타 표제 : 어슐러 르 귄 장편소설

소장정보

청구기호 : 843 르16어ㅅ2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951814
청구기호
843 르16어ㅅ2 v.2,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Le Guin, Ursula
김영훈
2019-03-10
테나르는 제1 무녀로 뽑혀 아투안의 무덤으로 온다. 어둠을 섬기는 이곳에서 테나르는 어둠에 바쳐져 먹힌 자라는 의미인 ‘아르하’라는 이름을 받는다. 아르하는 고위 무녀 사르와 코실에게 제1 무녀로서의 교육을 받으며 반복되는 일상을 살아간다. 사르가 죽자 코실은 아르하를 꼭두각시로 만드려고 하고 이 때문에 아르하는 불안하고 초조해 한다. 아르하는 아투안의 무덤 아래 미궁에서 에레삭베의 고리를 찾는 게드를 발견한다. 이 사실을 안 코실은 아르하에게 게드를 죽이라고 하지만 아르하는 게드를 계속 살려둔다. 분노한 코실은 아르하를 죽이려 드는데…    강요된 세계   “당신은 아르하예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아요. 전부 먹혔습니다.”   테하르의 세계는 강요되었다. 제1 무녀의 환생이란 이유로 그녀의 의사와 상관없이 삶이 결정되었고, 테하르 또한 그 삶에 익숙해 간다. 제1 무녀라도 그녀가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없다. 고위무녀인 사르와 코실의 말에 따라야 한다. 그녀는 명령을 내릴 권리는 있으나 힘이 없었다. 여러분은 현재 다니는 곳을 원해서 들어왔는가? 그렇다면 현재 전공이나 맡은 업무도 스스로 선택하여서 하게 된 것인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이나 맡은 역할이 자의가 아닌 경우가 많다. 우리가 태어날 때 스스로 국가를 선택할 수 없으며, 특정 성향의 부모, 태어날 곳의 사회 환경 또한 고를 수 없다.심지어 부모나 주어진 환경은 한 방향의 선택을 강요하기까지 한다. 드라마 <스카이캐슬>처럼 아이들은 부모가 원하는 대학에 가기 위해 엄청난 사교육을 받아야 한다. 또 금전적 상황이나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는 경우도 많다. 남들과 다른 길을 가면 뒤쳐질까 봐 걱정하고 정해진 길을 걷는 것도 벅차한다. 이런 환경에서 우리는 자신을 억누른 채 가면을 쓰고 맡은 바를 그저 수행할 뿐이다.   세계의 균열   “난 테나르가 아니야, 아르하도 아니야. 신들은 죽었어, 신들은 죽었다고.”   하지만 테하르의 안정된 세계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그 시작은 또래 무녀인 펜드이다. 어둠을 모시는 무녀가 어둠을 신봉하지 않으며 무녀의 삶이 아닌 평범한 여자의 삶을 꿈꾼다. 한편 사르가 죽자 야욕이 있던 코실은 테나르를 위협하며 그 위를 군림하려고 든다. 지하 미궁에서 게드를 만나 다른 세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기존의 삶이나 일에 의문과 회의감이 드는 순간 그 세계에는 균열이 생긴다. 일단 내가 생각하기에 사회와 세계는 다르다. 사회가 사람들이 살아가는 구조, 틀, 형식, 규범 등 객관적이라면 세계는 내가 경험하거나 관계를 맺고 있는 것들로 만들어지는 주관적이다. 이 세계는 사람마다 다르고 변동적이다. 예를 들어, 테나르의 세계는 어둠을 모셔야 한다는 당위와 모시는 사람들로 구성된 세계이다. 이 세계는 내가 살아온 세계이며 다른 자극이 없는 한 계속 살아가는 세계이다. 그러나 우리는 테하르가 게드를 만난 것처럼 기존의 세계를 뒤흔들 자극을 만난다. 그것은 사람이나 글, 영상, 그림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내가 겪었던 자극은 영화와 글이었다. 반복되고 지루하더라도 안정된 삶을 꿈꿨는데 다큐멘터리 영화 <얀 겔의 위대한 실험>과 책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고 ‘삶이 있는 도시’라는 테마에 빠졌다. 이 순간 내 세계에 균열이 생겼다. 조금만 더 공부하면 안정된 직업을 얻을 수 있는데, 20여 년 넘게 생각도 못 한 분야에 대해 새로 공부를 하고 그 세계의 사람들과 경쟁해서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는가 하는 회의와 의문이 던져졌다.   바뀌는 환경에 대한 두려움   “사람들을 이런 것들(어둠)을 숭배하고 그 앞에서 스스로를 보잘것없는 존재로 여긴다면 바로 거기서 악이 자라난다오.”   테나르는 섬을 떠나는 것들을 두려워한다. 평생 모시고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무너지고 잘 모르는 낯선 세계에서 모든 것 다시 배우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했기 때문이다. 익숙한 세계를 나오는 건 쉽지 않다.   회의를 느끼지만 이젠 익숙하고 안정된 삶을 살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세계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삶을 찾아 나설 것인가. 책을 읽고 나니 후자에 점점 끌렸다. 하지만 두렵고 망설여진다. ‘내가 이걸 고르는 것이 맞는 것인가, 안 그래도 동기들보다 뒤처지고 나이도 들었는데 다른 새로운 것을 해도 되는가.’ ‘어차피 난 그 세계에서 보잘것없을 거야. 주변 사람들도 원래 하던 걸 하라고 하잖아. 그래 이게 맞는 거야’ 하는 속삭임이 계속 들린다. 테나르가 게드에게 섬에 남겨달라고 말거나 게드를 죽이려고 했던 것이 이해가 된다. 내 인생을 망치려고 ‘속였다’는 생각에 부추겼던 것들을 불신하고 의심하게 된다.   그 두려움을 잘 알기에   “당신은 결코 잔인함과 암흑을 위해 만들어지지 않았어요. 당신은 빛을 품게끔 만들어진 그릇이오. 등잔이 그 안에 빛을 품고 또 그 빛을 나누어 주는 것처럼 말이오. 난 불이 댕겨지지 않은 등잔을 발견했소. 그걸 어느 무인도에다 두고 가는 짓은 하지 않을 거요. 그렇게 한다면 뭔가를 찾아냈다가 그냥 내던져 버리는 꼴이오.”   책을 크게 나누면 현실, 균열, 탈출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주어지거나 강요된 현실에 균열이 생기고 그 현실에서 탈출하여 새로운 세계로 도전하는 것이다. 선택은 언제나 망설여진다. 책에서 테나르의 상황을 지루하리만큼 정밀히 묘사한 이유 또한 그녀가 섬을 떠나면서도 새로운 세계로 가는 걸 왜 두려워하고 망설이는지 이해시키기 위함이다.   어둠은 빛을 덮지 못한다. 좌절과 시련이 있더라도 내 안에 있는 빛은 언제나 빛나고 있다. 우리는 자신 안의 빛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나는 알 수 없는 미래에 겁이 난다. 내 선택이 잘못 되었을까 봐, 잘못된 길을 걸었을까 봐. 그럴 때마다 이 책을 다시 읽을 것이다. 남루한 옷을 입고도 몸을 꼿꼿이 펴서 새로운 세상으로 걸어가는 테나르를 보며 힘을 얻을 것이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