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k
001 2210080340902
005 20050831000000
008 020409s1999 ulka 000a kor
020 a8986114224g04900
020 a8986114232(전2권)
040 a221008
056 a336.4224
100 a김하경
245 00 a내사랑 마창노련/d김하경 글; e마창노련사 발간위원회 발간n상
260 a서울: b갈무리,c1999.
300 a416p.:b삽도; c23 cm.
653 a노동운동
710 a마창노련사 발간위원회
950 0 b\12,000
내사랑 마창노련/상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내사랑 마창노련/상
저자명
발행사항
서울: 갈무리 1999.
형태사항
416p: 삽도; 23 cm.
주제

소장정보

청구기호 : 336.42 김92내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690616
청구기호
336.42 김92내 v.1,
별치기호
소장위치
자연대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김하경
2011-01-13
이 책을 읽게된 계기는 부민캠 학회 두/빛/나/래에서 주최한 G20 강연회에 연사로 오신 사회진보연대의 구준모 정책위원에게서 추천을 받아서 이다. 예전에 노동운동을 하시던 분에게 이런 얘기를 들은적이 있다. ‘전노협에서 민주노총까지 온 것은 이전에 마창노련을 빼 놓고 얘기할 수 없다’ 마산·창원노동조합총연합(마창노련)은 우리나라 노동운동에서 핵심에 있었던 조직이며 87년 노동자대투쟁에 중심에 있었던 조직이다. 당시에는 노동조합을 건설하는 것 조차 힘들었고 이것을 지역단위로 연대한다는 것은 엄청난 발상이었음 에도 불구하고 마창노련은 구사대와 경찰의 폭력에도 굴하지 않고 건설되었다. 책을 읽으면 전체 노동운동에 있어서 역사를 전반적으로 다 다루고 있어 마창노련만을 다룬다고 보기 힘들다. 그러나 그 운동의 중심인 마창노련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나는 책을 읽으며 가슴이 뜨거워졌다. 어떻게 노동자들이 저렇게 투쟁적으로 나올 수 있을까? 궁금했다. 현재의 노동조합의 모습을 보며 그런 생각을 하기엔 안타깝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뉘고 서로 분열하며 현장의 의견도 수렴하지 못하고 간선제로 선출된 노총위원장들의 반노조적 행위(개인의 견해이다)들을 보며 마창노련을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