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033996
005 20050831000000
008 870127s1970 ja 001a jpn
040 a221008
100 a의전,신
245 00 a性格心理學/d依田新 著. -
260 a東京:b金子書房,c1970. -
300 a218p.;c21cm. -
650 a성격심리학a성격a차이심리학
950 aFB
950 a비매품b₩0c(추정가)
性格心理學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性格心理學
저자명
발행사항
東京: 金子書房 1970. -
형태사항
218p; 21cm. -

소장정보

청구기호 : 370.18 의73성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125416
청구기호
370.18 의73성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의전,신
2013-05-01
           부득이하게 책 검색의 오류로, 책의 정보를 제목에 대신한다.            이 책은 과제를 하기 위해 읽은 책이다. 추천도서에 비슷한 부류의 책을 올려 놓았다. 추천 책이 심리에 관해 가볍게 읽을 것이라면 이 책은 좀 더 심리학 학문에 가깝다. 심리학의 수많은 부분들 중에서도 성격심리만을 다루고 있지만 책의 내용은 방대하다. 왜인지 해외 대학의 교과서로 쓰일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이 책에서 내가 참고한 부분은 동기적 관점과 심리사회이론, 학습관점, 자기실현과 자기결정, 자기조절관점, 관점으로 본 성격: 중복과 통합이다. 추천도서를 읽고 나서 생각한 나의 성격 파악을 토대로 이 책에서 근거를 찾아나가는 작업을 했다. 어떤 동기로 그랬는지, 애착형성은 어떤지, 나에게는 어떤 조건이 학습에 잘 맞는지, 그리고 다른 성격적 특질(trait)중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자기 성찰 부분은 어떻고 또 어떻게 좋은 부분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했다. 학문적 책에 가깝기 때문에 읽어 나가는 데 대단한 집중력과 인내심이 요구되었지만 내가 생각하는 성격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찾는 데에는 엄청난 결실을 얻었다. 한 책에서 이만큼의 정보를 얻으리라고 상상하지 못했다. 개념정의가 아주 잘 되어 있고 군데군데 도표도 있어서 백과사전을 찾아보는 느낌이었다.          특히 인상깊었던 점은 이런 이론을 바탕으로 심리 치료를 진행할 때 항상 두 가지 모순적인 방향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일치성과 자유의지(저항), 본능과 양육, 보상과 처벌 등등 비전공자인 내가 보았을 때는 이 두 가지 모순적인 방향이 헷갈리게 하지만 심리학하면 프로이트만을 떠올리며 몸서리쳤던 것을 생각하면 심리학이 더 넓은 것을 수용하고 경계를 무너뜨린 보다 개방적인 학문인 것을 느꼈다. 사회학과의 교류도 활발한 것 같다. 사회심리학과 같이 독립된 학문분야도 있고, 내적인 요인와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외적인 요인을 모두 다 고려하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정말 교과서같은 책이다. 전공자가 보면 참 좋을 것 같다. 내가 보기에는 사진과 도표가 좀 더 많았으면 했다. 사진과 도표가 아예 없는 책은 아니지만 이 책에서 서술하는 사례나 이론 수에 비하면 시각적 자료의 수는 적은 편이다. 그리고 챕터당 맨 끝에 있는 용어설명 부분은 어디까지나 보충, 보완 부분이지만 그 사실 단순히 하나만으로는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학문용어가 많았고 구체적이기 보다는 종합적이었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