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286497
005 20140821161612
008 981003s1998 bnk FB 000a kor
040 a221008
100 a소성수
245 00 a17세기 경상도의 束伍軍 편제와 운영:c鎭部總圖를 중심으로 /d소성수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1998.
300 a59장 ;c27cm.
502 a학위논문(석사) :b동아대학교 대학원 :c역사교육전공,d1998.8
520 b영문초록 : Military Systems of the Cho-Sun Dynasty are represented by OUI, OGUN-YOUNG, GIN-KWAN and SOK-O-GUN. The govermment of Cho-Sun, defeated in ImJin War was excute that Local forces were composed of Soko - Ruld and thrilled by SAMSUGI. The content of JINBUCHONGDO included in four sides of JAERMOK, Excepts of four sides included all area of KYNGSANG province. Two sides out of fourteen sides divided into DAE · GI · CHO of each sides, twelve sides divided to CHO · SA · BU of each sides. It was made in 1601 by LEE - DAEK HYUNG, When he was going to Each Young to inspect as NAM SAD0 DO - DOCHECHALSA (The commander of Local Army at present.) According to the SOKDAEJEON, the YOUNG was tamow area of Front : AN DONG, LEFT : SANG JU, Middle : DAE GU, SPECIAL-MIDDLE : KIMHAE, REAR : KYUNG JU, RIGHT : JIN JU by located of YOUNG JANG and Each basic combat of CHO by located area under left and right affairs. According to the JINBUCHONGDO, in SOK-O-GUN. The grade of SOK-O-GUN was divided into these groups : publics, privates, slaves. The center of local forces, SOK-O-GUN became respected by goverment but the slaves forces were not included in SOK-O-GUN, KYUNG-SANG province. JAERMOK not only followed the military policies of central government, but developed diffrent kind of SOK-O-GUN by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according to the composed circumstances of the area. System and operation of SOK-O-KUN was by YANGBAN and slaves to overcome IMJIN war in 17th century. In the beginning of SOK-O-KUN, it had been in several battles, and kept steady fighting powers so that it could be the representative local force of nation. After IM JIN war, SOK - O- KUN was forced to do only labor works without any compensations, as the result of it, SOK-O-KUN became little more than a name. But, in 17th century most men were included in SOK-O-KUN, and throughout IM-JIN war and BYUNG-JA war it was verified that it was the main-force unit of national defence as redeployment in war time. I believe that fragment of System and operation of SOK-O-KUN has been revealed throughout the research connecting studies of JINBUCHONGDO and changes of System and operation of SOK-O-KUN were a fresh attempt because the real operating system of it has been exectiy known yet.
520 b한글초록 : 朝鮮時代의 군사제도로는 五衛와 五軍營, 鎭管體制와 東伍軍으로 대표된다. 임진왜란에서 패전했던 조선정부는 지방군에 대한 정책으로 鎭管制를 바탕으로 조직편제는 束伍法에 의하고 훈련은 三手技에 두었던 속오군체제를 성립시키게 된다. 鎭部總圖의 구성 내용은 4면에 節目을 싣고 있으며, 나머지 14면에는 경상도 전지역의 편제도를 담고있다. 14면의 편제도 중 2면은 편제도는 각 지역을 隊·旗·哨로 편제한 내용이며, 나머지 12면은 哨·司·部로 각 지역을 편제하고 있다. 사료의 작성시기는 1601년에 兼四道都體察使 李德馨이 경상도의 각영을 순시하였던 시기 직후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편제도를 각 지역 기본 전투단위인 초로 구분한 편제도를 보면 좌·우부로 1개의 단위가 구분되는데 속대전에 기재된 영장의 위치를 통해 전영:안동, 좌영:상주, 중영:대구, 별중영:김해, 후영:경주, 우영:진주임을 알수 있다. 진부총도에 나타난 경상도 속오군의 실제를 보면 속오군의 대상 신분을 공사천의 무리라 지정하고 나아가 천인을 우대하여 단속하라고 하는 부분을 지방군의 핵심을 이루는 속오군은 상대적으로 거의 천예군었다는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경상도 지방에서는 속오군이 천예화하지 않았던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절목은 중앙의 지 방 군사정책에 충실히 따르면서도 일방적인 이첩하달의 성격에 머무르지 않고 그 지방의 상황과 사정에 따라 일면 유사하면서도 일면 또 다른 성격의 속오군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17세기 경상도의 속오군 편제와 운영을 통해, 임진왜란이라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양반에서 천인에 이르기까지 양천 구분 없이 일정능력이 있는 자이면 모두 충정토록 한 속오군제는 성립 초기에는 실전에 투입되었고 일정 수준의 전투능력을 유지하는 등 중앙군에 대별되는 지방군의 대표적 존재로 위치하였으나, 전후 국가로부터 아무런 보장과 보상이없이 각종 잡역에 동원되는 등의 고역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결국 유명무실화된 군사체로 전락하고 말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속오군은 17세기에 있어 국가 인적자원의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임진왜란·병자호란을 통해 전시 동원군사로서 국방의 주력군이었음도 확인하였다. 진부총도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고찰 결과를 속오군제의 변화상과 결부시킨 본 연구를 통해 경상도 지역의 17세기 전반의 속오군제 운영의 일단이 밝혀졌다고 보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 중앙의 지침에 대한 지방 속오군제의 실질적 운영형태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현상황에 있어 새로운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653 a속오군a역사교육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1572
950 0 a비매품b\3000c(추정가격)
17세기 경상도의 束伍軍 편제와 운영:鎭部總圖를 중심으로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17세기 경상도의 束伍軍 편제와 운영:鎭部總圖를 중심으로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1998.
형태사항
59장 ; 27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1998.8
주기사항
영문초록 : Military Systems of the Cho-Sun Dynasty are represented by OUI, OGUN-YOUNG, GIN-KWAN and SOK-O-GUN. The govermment of Cho-Sun, defeated in ImJin War was excute that Local forces were composed of Soko - Ruld and thrilled by SAMSUGI. The content of JINBUCHONGDO included in four sides of JAERMOK, Excepts of four sides included all area of KYNGSANG province. Two sides out of fourteen sides divided into DAE · GI · CHO of each sides, twelve sides divided to CHO · SA · BU of each sides. It was made in 1601 by LEE - DAEK HYUNG, When he was going to Each Young to inspect as NAM SAD0 DO - DOCHECHALSA (The commander of Local Army at present.) According to the SOKDAEJEON, the YOUNG was tamow area of Front : AN DONG, LEFT : SANG JU, Middle : DAE GU, SPECIAL-MIDDLE : KIMHAE, REAR : KYUNG JU, RIGHT : JIN JU by located of YOUNG JANG and Each basic combat of CHO by located area under left and right affairs. According to the JINBUCHONGDO, in SOK-O-GUN. The grade of SOK-O-GUN was divided into these groups : publics, privates, slaves. The center of local forces, SOK-O-GUN became respected by goverment but the slaves forces were not included in SOK-O-GUN, KYUNG-SANG province. JAERMOK not only followed the military policies of central government, but developed diffrent kind of SOK-O-GUN by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it according to the composed circumstances of the area. System and operation of SOK-O-KUN was by YANGBAN and slaves to overcome IMJIN war in 17th century. In the beginning of SOK-O-KUN, it had been in several battles, and kept steady fighting powers so that it could be the representative local force of nation. After IM JIN war, SOK - O- KUN was forced to do only labor works without any compensations, as the result of it, SOK-O-KUN became little more than a name. But, in 17th century most men were included in SOK-O-KUN, and throughout IM-JIN war and BYUNG-JA war it was verified that it was the main-force unit of national defence as redeployment in war time. I believe that fragment of System and operation of SOK-O-KUN has been revealed throughout the research connecting studies of JINBUCHONGDO and changes of System and operation of SOK-O-KUN were a fresh attempt because the real operating system of it has been exectiy known yet. / 한글초록 : 朝鮮時代의 군사제도로는 五衛와 五軍營, 鎭管體制와 東伍軍으로 대표된다. 임진왜란에서 패전했던 조선정부는 지방군에 대한 정책으로 鎭管制를 바탕으로 조직편제는 束伍法에 의하고 훈련은 三手技에 두었던 속오군체제를 성립시키게 된다. 鎭部總圖의 구성 내용은 4면에 節目을 싣고 있으며, 나머지 14면에는 경상도 전지역의 편제도를 담고있다. 14면의 편제도 중 2면은 편제도는 각 지역을 隊·旗·哨로 편제한 내용이며, 나머지 12면은 哨·司·部로 각 지역을 편제하고 있다. 사료의 작성시기는 1601년에 兼四道都體察使 李德馨이 경상도의 각영을 순시하였던 시기 직후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편제도를 각 지역 기본 전투단위인 초로 구분한 편제도를 보면 좌·우부로 1개의 단위가 구분되는데 속대전에 기재된 영장의 위치를 통해 전영:안동, 좌영:상주, 중영:대구, 별중영:김해, 후영:경주, 우영:진주임을 알수 있다. 진부총도에 나타난 경상도 속오군의 실제를 보면 속오군의 대상 신분을 공사천의 무리라 지정하고 나아가 천인을 우대하여 단속하라고 하는 부분을 지방군의 핵심을 이루는 속오군은 상대적으로 거의 천예군었다는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경상도 지방에서는 속오군이 천예화하지 않았던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절목은 중앙의 지 방 군사정책에 충실히 따르면서도 일방적인 이첩하달의 성격에 머무르지 않고 그 지방의 상황과 사정에 따라 일면 유사하면서도 일면 또 다른 성격의 속오군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17세기 경상도의 속오군 편제와 운영을 통해, 임진왜란이라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양반에서 천인에 이르기까지 양천 구분 없이 일정능력이 있는 자이면 모두 충정토록 한 속오군제는 성립 초기에는 실전에 투입되었고 일정 수준의 전투능력을 유지하는 등 중앙군에 대별되는 지방군의 대표적 존재로 위치하였으나, 전후 국가로부터 아무런 보장과 보상이없이 각종 잡역에 동원되는 등의 고역으로 변화하게 되었고, 결국 유명무실화된 군사체로 전락하고 말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속오군은 17세기에 있어 국가 인적자원의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임진왜란·병자호란을 통해 전시 동원군사로서 국방의 주력군이었음도 확인하였다. 진부총도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고찰 결과를 속오군제의 변화상과 결부시킨 본 연구를 통해 경상도 지역의 17세기 전반의 속오군제 운영의 일단이 밝혀졌다고 보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 중앙의 지침에 대한 지방 속오군제의 실질적 운영형태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현상황에 있어 새로운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911.0557 소54십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80231
청구기호
911.0557 소54십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80852
청구기호
911.0557 소54십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대학원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