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281807
005 20140819161533
008 900609s1997 bnka FB 001a kor
040 a221008
100 a최윤형
245 00 a太宗代 外戚除去와 世子冊封問題/d催允馨 [著]. -
260 a부산: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c1997. -
300 a54장.:c26cm. -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d1998년2월
520 b영문초록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background of King Sejong's enthronement, namely, King Taejong's removal of maternal relatives and dethronement of the crown prince. After becoming the third king of the Choson dynasty, King Taejong wanted to achieve political stability by exercising strong royal power. But the maternal relatives who had helped him seize the power naturally made themselves a great political force. In other words, they became a main hurdle to the state's stabilization. With a view to removing them step by step, King Taejong planned to give his throne to the next king in his lifetime. So he induced their unfathful deeds and succeeded in regarding them as the anti-royal force. Also, on the excuse of the marriage of the crown prince, he doubted their secret scheme of gaining the power behind the princely heir and made advantage of the Incident of Min Mu-gu and Min Mu-jil. Furthermore, he expanded Yom Chi-yong's Servant Appeal Incident as the right occasion of getting rid of maternal kins including Min Mu-hyul and Min Mu-hoe. On the other hand, the crown prince who had been raised under the extraordinary protection and love of his maternal family began to be greatly sorry for his father's activities. This kind of dissatisfaction was indeed against King Taejong's consistent policy to strengthen national foundation and establish royal authority. Before long Yi Chi-song was imprisoned, after which King Taejong came to watch every deed of the crown prince. He publicly denounced the prince's wrong behavior and their relationship went from bad to worse. Even Yi Suk-pon, a dutiful aide King Taejong, worried about the highly probable political retaliation after the scheduled enthronement of the princely heir. At last, just after the Ori Incident in which the prince's father-in-law Kim Han-ro was involved, King Taejong let the people know his best policy was to dethrone the crown prince who turned out a trouble boy not good enough to leave the royal power in his hand. Then, King Taejong's third son Chungnyong was made the new crown prince. Chungnyong, therefore, came to the throne as the fourth king of the Choson era. He did not go through a severe war of throne succession which characterized the early part of the Choson kingdom. He didn't own any particular political force, either. Nevertheless, he wonderfuily exhibited a strong sense of royal authority and bloomed a magnificent Confucianist culture on the basis of steadfast politics. That's why he is called Sejong the Great, not simply as King Sejong. The cultural renaissance and political peace during the reign of Sejong the Great, in this respect, was the natural result of his father King Taejong's lifelong achievement to uproot the interference of maternal relatives and lay the foundation of invulnerable royal power.
520 b한글초록 : 본 연구는 조선초 태종의 외척제거가 세자폐위와 세종의 즉위에 영향을 끼쳤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건국 후 정치적 안정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집권하게 된 태종은 강한 왕권을 행사하여 정치적 안정을 이루고자 하였다. 태종의 집권에 큰 공이 있는 외척이 점차 정치세력으로 부상하고 그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면서, 이들은 정국 안정의 걸림돌이 되었다. 따라서 태종은 이들을 제거할 구실로 선위 파동을 일으켜, 이들의 불충한 행동을 유도하고, 이들을 反王세력으로 규정지었다. 또한 외척들이 세자의 정혼 문제를 구실삼아 上國인 明에 의지하여 挾幼執權하려 한다고 의심하고, 이를 민무구·무질의 옥으로 확대시켜 외척을 제거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또한 염치용의 노비 상소 사건도 민무휼·무회의 옥으로 확대시켜 나머지 외척을 제거하는 구실로 삼았다고 보여진다. 반면, 어려서부터 외가에서 성장하면서 돈독한 정을 쌓아온 세자는 부왕의 외척제거에 불만을 나타내었고, 이는 국가의 기반을 다지고 왕실의 권위를 세우고자 노력하는 태종의 정책에 反하는 행동으로 이해되었다. 이지성의 옥이 대표적 사건이라고 보여진다. 이지성의 옥 이후 태종은 세자의 행동을 주시하고, 세자의 失行을 질책하면서 태종과 세자의 관계는 악화되어 갔다. 특히 태종의 뜻을 받들어 외척 제거에 앞장섰던 이숙번 마저 세자의 집권 이후 야기될 정치적 보복을 두려워 하는 모습은 태종의 외척제거에 세자가 불만을 가지고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세자의 태도는 집권 이후 꾸준히 노력해 온 태종의 정국 안정과 왕권 강화 정책을 허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따라서 태종은 세자의 장인인 김한로가 연루된 於理 사건을 구실삼아 세자의 失行을 여론화하여 세자를 폐하고, 충녕을 새 세자로 세우게 되었다. 세종은 조선초기에 있었던 심각한 왕위 계승전쟁도 겪지 않았으며, 특별한 측근세력도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였다. 게다가 안정된 정치를 바탕으로 찬란한 유교 문화를 이루었다. 세종대의 이러한 정치안정과 문화발전은 부왕인 태종이 국정운영에만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라 이해된다.
650 a태종a외척제거a세자책봉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9007
950 aFB
950 a비매품b₩3,000c(추정가)
太宗代 外戚除去와 世子冊封問題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太宗代 外戚除去와 世子冊封問題
저자명
발행사항
형태사항
54장: 26cm. -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1998년2월
주기사항
영문초록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background of King Sejong's enthronement, namely, King Taejong's removal of maternal relatives and dethronement of the crown prince. After becoming the third king of the Choson dynasty, King Taejong wanted to achieve political stability by exercising strong royal power. But the maternal relatives who had helped him seize the power naturally made themselves a great political force. In other words, they became a main hurdle to the state's stabilization. With a view to removing them step by step, King Taejong planned to give his throne to the next king in his lifetime. So he induced their unfathful deeds and succeeded in regarding them as the anti-royal force. Also, on the excuse of the marriage of the crown prince, he doubted their secret scheme of gaining the power behind the princely heir and made advantage of the Incident of Min Mu-gu and Min Mu-jil. Furthermore, he expanded Yom Chi-yong's Servant Appeal Incident as the right occasion of getting rid of maternal kins including Min Mu-hyul and Min Mu-hoe. On the other hand, the crown prince who had been raised under the extraordinary protection and love of his maternal family began to be greatly sorry for his father's activities. This kind of dissatisfaction was indeed against King Taejong's consistent policy to strengthen national foundation and establish royal authority. Before long Yi Chi-song was imprisoned, after which King Taejong came to watch every deed of the crown prince. He publicly denounced the prince's wrong behavior and their relationship went from bad to worse. Even Yi Suk-pon, a dutiful aide King Taejong, worried about the highly probable political retaliation after the scheduled enthronement of the princely heir. At last, just after the Ori Incident in which the prince's father-in-law Kim Han-ro was involved, King Taejong let the people know his best policy was to dethrone the crown prince who turned out a trouble boy not good enough to leave the royal power in his hand. Then, King Taejong's third son Chungnyong was made the new crown prince. Chungnyong, therefore, came to the throne as the fourth king of the Choson era. He did not go through a severe war of throne succession which characterized the early part of the Choson kingdom. He didn't own any particular political force, either. Nevertheless, he wonderfuily exhibited a strong sense of royal authority and bloomed a magnificent Confucianist culture on the basis of steadfast politics. That's why he is called Sejong the Great, not simply as King Sejong. The cultural renaissance and political peace during the reign of Sejong the Great, in this respect, was the natural result of his father King Taejong's lifelong achievement to uproot the interference of maternal relatives and lay the foundation of invulnerable royal power. / 한글초록 : 본 연구는 조선초 태종의 외척제거가 세자폐위와 세종의 즉위에 영향을 끼쳤음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건국 후 정치적 안정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집권하게 된 태종은 강한 왕권을 행사하여 정치적 안정을 이루고자 하였다. 태종의 집권에 큰 공이 있는 외척이 점차 정치세력으로 부상하고 그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면서, 이들은 정국 안정의 걸림돌이 되었다. 따라서 태종은 이들을 제거할 구실로 선위 파동을 일으켜, 이들의 불충한 행동을 유도하고, 이들을 反王세력으로 규정지었다. 또한 외척들이 세자의 정혼 문제를 구실삼아 上國인 明에 의지하여 挾幼執權하려 한다고 의심하고, 이를 민무구·무질의 옥으로 확대시켜 외척을 제거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또한 염치용의 노비 상소 사건도 민무휼·무회의 옥으로 확대시켜 나머지 외척을 제거하는 구실로 삼았다고 보여진다. 반면, 어려서부터 외가에서 성장하면서 돈독한 정을 쌓아온 세자는 부왕의 외척제거에 불만을 나타내었고, 이는 국가의 기반을 다지고 왕실의 권위를 세우고자 노력하는 태종의 정책에 反하는 행동으로 이해되었다. 이지성의 옥이 대표적 사건이라고 보여진다. 이지성의 옥 이후 태종은 세자의 행동을 주시하고, 세자의 失行을 질책하면서 태종과 세자의 관계는 악화되어 갔다. 특히 태종의 뜻을 받들어 외척 제거에 앞장섰던 이숙번 마저 세자의 집권 이후 야기될 정치적 보복을 두려워 하는 모습은 태종의 외척제거에 세자가 불만을 가지고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세자의 태도는 집권 이후 꾸준히 노력해 온 태종의 정국 안정과 왕권 강화 정책을 허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따라서 태종은 세자의 장인인 김한로가 연루된 於理 사건을 구실삼아 세자의 失行을 여론화하여 세자를 폐하고, 충녕을 새 세자로 세우게 되었다. 세종은 조선초기에 있었던 심각한 왕위 계승전쟁도 겪지 않았으며, 특별한 측근세력도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였다. 게다가 안정된 정치를 바탕으로 찬란한 유교 문화를 이루었다. 세종대의 이러한 정치안정과 문화발전은 부왕인 태종이 국정운영에만 몰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라 이해된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911.051 최67태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73618
청구기호
911.051 최67태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73619
청구기호
911.051 최67태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75808
청구기호
911.051 최67태 =3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대학원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