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nam | |
001 | 2210080251475 | |
005 | 20140715153305 | |
008 | 951109s1995 bnk m FB 000a kor | |
040 | ▼a221008 | |
100 | ▼a강덕구 | |
245 | 00 | ▼a한.일어 신체어 어휘소의 다의 구조 연구:▼b얼굴,눈,머리를 중심으로/▼d강덕구 저. - |
260 | ▼a부산:▼b동아대학교,▼c1995. - | |
300 | ▼a97p.;▼c27cm. - | |
502 |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c국어교육전공▼d`95년8월 | |
520 | ▼b영문초록 : The study of polysemy gives us an insight into learning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Korean and Japanese.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denotation of three lexical items, {Ugul, Kao}, {Nun, Me} and {Meri, Atama)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ith 'Motivation Principle' cocnsisted of contiguity and similarity. To accomplish this study successfully, I extracted lexical meanings from the dictionary in Korean and Japanes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polysemous structure of {Ulgul, Kao} is represented by contiguity in Motivation and the meaning expansion is due to contiguity. The meanig as [anger], [shame], [beauty], [pain], [prestige] and [personal relation ] are implied in both languages but [trust], [refuge] and [prohibition] are appeared just in Japanese. Both languages also have the general meaning [human] but the sense of [eyebrows] and [beard ] is shown only in Japanese. The contiguity in time is expressed only in Japanese and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re would be relation between the behavior of things and time. 2. The polysemous steucture of {Nun, Me} is represented by contiguity and similarity in Motivation. The expansion of meaning is not due to similarity but to contiguity. a) Meaning transfer by similarity The [form], [sameness], [value] and [function] in similarity have common in both languages. There are many idioms expressing the gap of continuous crossing things and the pause or contact of time and space in Japanese but there are hardly found in Korean. The meaning of [ordering] and [declining] behaviors suffix only in Japanese. b) Meanig transfer by contiguity [Visual activity] and [attention] or [vigil] has a higher frequency in Japanese rather Korean and the meaing of [goal] and [meeting] are found only in Japanese. The meanig of [mind] has a common in both languages but [emotion] and [communication] have a higher frequency of usage in Japanese than Korean. The meanig of [remeber] or [retrospect] is common in both languages but [suppose] or [guess] has a higer frequency of usage in Korean. 3. The polysemous structure of {Nun, Me} is emphasized with function in similarity but {Meri, Atama} is emphasized with [character] and [form] in similarity, especially with the meaning transfer by the perception of position in similarity. There are a higer frequency in derivation and compound formation in Korean by the comparision of {Meri} and {Atama}. a) Meaning transfer by similarity The meaning of [top] or [upside] and [leader] or [captin] are appeared in both languages. But in case of latter, there are more relevant idioms in Japanese. The meanng of [market condition] and [commision] is shown only in Japanese. The meaning of [forward] and [beginning] are common in both languages but the compound word as [Sambokmeri] [Haejilmeri] having a semantic function of [at the beginning of] does not appear in Japanes. The meaning of [forward], [ edge] and [protrusion] are common in both languages but the suffix taking a meaning of constructional terms and the parted flesh of meats in Korean does not appear in Korean. b) Meaning transfer by contiguity The meaning of [hair] is commom in both languages but the compound words indicating typical hairstyle have a higher frequency overwhelmingly in Korean. The meaning of [skull] and [the number of people] are common in both languages. And the meaning of [intelligent capacity], [think] and [mind] are also common in both languages. In conclusion, the three lexical items in both languages have a common characters of polysemy but also the distincitve characters are found partly. | |
520 | ▼b한글초록 : 본 연구은 한국인이 일본어를, 일본인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가장 필요한 다의적 표현을 S.Ullmann의 이론을 발전시킨 池上嘉彦의 유사와 인접에 의한 유연성의 원리를 도입하여 양국어의 어휘소 {얼굴 · かお}, {눈 · め}, {머리 · あたま}를 대상으로 분석. 검토한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로 한·일. 양국어의 사전들을 대상으로 어휘들을 추출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어휘소 {얼굴 · かお}, {눈 · め}, {머리 · あたま}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어휘소 {얼굴 · かお}의 다의구조는 인접에 의한 유연성의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그 다의적 확장은 인접성에 의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다의항목 <노여움>, <부끄러움>, <아픔>, <아름다움>, <체면,면목>, <대인 관계>는 두 나라 말의 평행선을 이루고 있으나, <신용>, <거절·금지>는 일본어에만 있는 것들이다. 또한 <사람>이란 전체의 의미도 가지고 있으며 <눈썹>, <수염>을 나타내는 것은 일본어만의 특징이다. <시간적 인접>은 일본어에서만 볼 수 있는 어휘로서 사물의 행위와 작용이 시간과 관련성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2. 어휘소 {눈 · め}의 다의구조는 인접과 유사라는 유연성의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그 다의적 확장은 유사성에 의한 것보다 인접성에 의한 것이 월등하게 넓은 분포를 가졌다. 1) 유사성에 의한 전의 다의항목 <형태>, <유사>, <가치>, <기능상>의 유사는 두 나라 말이 상응하고 있으나, 연속교차물의 간극과 시공간적 단락 및 접점은 일본어에서는 많은 숙어가 있으나 한국어에서는 희소하다. 또한 <순서>, <일의 고비> 등의 의미를 가진 접미사의 역할은 일본어만의 특징이다. 2) 인접성의 전의 <시각 활동>, <주의·감시>를 뜻하는 다의 항목은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우위를 차지하며, <목표>, <상면>의 의미는 일본어에만 있는 특징이다. <마음>의 의미에서는 두 나라 말이 평행선을 이루고 있으나 <감정>과 <의사 표시>의 의미에서는 다소 우위에 있다. <기억.회상>의 의미에서는 두 나라 말이 평행선을 이루고 있으나 <추량, 짐작>의 의미에서는 한국어보다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3. 어휘소 {눈 · め}는 유사성의 전의에서 기능에 의한 다의 구조의 비중이 큰 데 비해 {머리 · あたま}는 속성과 형태 특히 위치에 의한 다의 구조의 비중이 두드러진다. 양국어의 어휘소 {머리}와 {あたま}의 비교에서 파생어 형성이나 숙어 구성에 있어서 한국어가 일본어보다 수적으로 앞선다. 1) 유사성에 의한 전의 다의 항목 <상부. 상단>이나 <두목. 장>의 의미는 두 나라 말이 평행선을 이루고 있으나, 후자의 경우 일본어가 숙어 구성에 있어 수적으로 다소 우위에 있다. <시세>, <겉섶>의 의미는 일본어에만 있는 특징이다. <전방부>, <시초·시작>의 의미는 양국어에서 동질적이나, 한국어의 경우 <시작할 무렵>의 의미기능을 가진 {삼복머리}, {해질머리} 등의 합성어 구성은 일본어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선단>, <가·곁>과 <돌출부분>의 의미에서도 두 나라 말이 평행선을 이루지만, 한국어에서 건축 용어나 고기의 부윗살을 나타내는 접미사는 일본어에서는 보기 어렵다. 2) 인접성에 의한 전의 다의항목 <두발>의 의미는 양국어에서 평행선을 이루지만, 전통적인 머리형을 나타내는 합성어 구성에는 한국어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두개골>의 의미는 양국어가 공유한다. <인원수>의 의미도 앙국어가 평행선을 이룬다. <지적능력>, <생각·사상>, <마음>의 의미는 세계의 통문화적 범주로 두 나라 말에 있어서는 동질성을 띤다. 이상에서 볼 때 두 나라 말이 가지는 세 어휘소의 다의 구조는 큰 골격에서 동질성을 드러내는 한편, 고유한 전통이나 습속에 의해 지엽적인 이질성도 확연하게 드러내 준다. | |
541 | ▼c수증;▼a강용권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부 교수;▼d1998.10.27▼e(E0587438) | |
650 | ▼a어휘소▼a신체어 | |
856 |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9854 | |
950 | ▼aFB | |
950 | ▼a비매품▼b₩3,000▼c(추정가)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별치기호 | 소장위치 | 대출상태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
등록번호
E0524894
|
청구기호
714 강223한
|
별치기호
D
|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등록번호
E0524895
|
청구기호
714 강223한 =2
|
별치기호
D
|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반납예정일
|
서비스
|
등록번호
E0575947
|
청구기호
714 강223한 =3
|
별치기호
D
|
소장위치
대학원
|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반납예정일
|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