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010338
005 20050831000000
008 931220s1969 ulka 000a kor
040 a221008
100 a보들레르,
245 00 a惡의 꽃/d보들레르 [著];e丁奇洙 譯. -
260 a서울:b正音社,c1969. -
300 a473p.:b삽도;c19cm. -
440 a(新譯)世界文學全集;v3
500 00 a권두에 解說,권말에 年譜있음
650 a세계문학
700 1 a정,기수,e역
950 aFB
950 b₩750c(전질가₩30,000)
惡의 꽃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惡의 꽃
저자명
총서명
(新譯)世界文學全集; v3
발행사항
서울: 正音社 1969. -
형태사항
473p: 삽도; 19cm. -
주기사항
권두에 解說,권말에 年譜있음

소장정보

청구기호 : 808 정687세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025077
청구기호
808 정687세
별치기호
소장위치
자연대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보들레르,
2011-09-18
내생각에 조금 극단적으로 말해서 자기소개서 성장과정을 한줄로 쓰는 사람이 시인 인 것 같다.작은 책이 오히려 더 일기 힘들다. 특히 시집은 같은 글을 많이 읽어야 하니까… 책을 5번 넘게 빌려 봤다. 이유인 즉슨, 도무지 뭐라고 하는건지 모르겠어서 이다.보들레르 어디서 들어본 사람 이름인데, 한번 빌려 봐야겠다 -> 응 ? 도통 이게 무슨 말이지 ? -> 반납 신문에서 보들레르를 언급한 기사를봄. 악의꽃 다시 빌려봐야지 하고 다짐-> 읽지도 못하고 반납 -> 조선대 도서목록에서도 이책이 있구나,,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일까? 그래서 대출 -> 으아 모르겠다 다시 반납 -> 또다시 다른 신문에서 보들레르를 언급 그리고 대출 전쟁의 기술 같은 책은 책의 두께 보다 훨씬 작게 느껴지는 반면.이책은 책의 원래 두께 보다 10배는 두꺼워 보였다.  이제는 습관적으로 책을 빌려 보게 되다가, 우연히 작가의 생애를 읽게 됬다. 왜 진작에 안 봤었을 까나… 후회 막심(예전에 교양도서를 읽다가나쓰메 소세키 ‘소설’ 같은 경우는 책을 읽다가도 혹시나 작가가 이런이런 사람이 아닐까 해서 검색해보면몇번 들어 맞곤 했다. 스스로 대견한 순간이었긴 했지만, 지금 와서 보니, 책이란게 작가 검색 부터가 먼저 필요한게 아닌가 생각된다.특히나 오래된 책이라면 더더욱, 그 당시 많이 읽혀졌으니까, 유명해졌고,어쩌면 유명한 사람이 써서 더 유명한 것일지도 모르니까,당연한 것을 대단한 것처럼 쓰지만, 난 좀 어느 분야든지 어딘가 좀 둔한 구석이 있다.)희한하게 뒤늦게서야 ‘내가 보를레르 였었다면 ~ 했었을 거야.’ 라는 생각을 했다.그다음 부터 시를 보니까 뭔가 술술술 읽히는 거였다. 신기한 경험이다. 교양도서 ‘경청’을 읽고 나서 부터는 항상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는게 좋겠다고 생각은 했지만,꼭 어떤 계기나, 그러니까… 음…… 구체적인 설명 팁이 없으면 잘 행하지 못한다.-하나를 알면 그 하나만 안다.-스마트폰 어플을 쓰는데, 다른사람이 썼던 후기를 보고 그대로 따라하는 건 가능한데, 내만의 것으로는 잘 못쓴다.뭐 어찌 창조적으로 하는게 없는 것 같다. 그래 다시 원론으로, 보들레르 입장을 생각하고 나니 시가 술술술 읽히기 시작하긴 했는데,그래도 이 시는 무슨 말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 작가의 생애와는 관련이 별로 없는 것도 있는데,이거는 그냥 시인의 시적능력일거다 했던 시 제목이 올빼미 란 시였다.  보들레르를 먼저 알고 나서야, 읽혀졌던 시책을 읽기 전에 시인부터 먼저 알아야 도움이 됩니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