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100625
005 20050831000000
008 830818s1983 ulk 000 f kor
040 a221008
041 akorger
100 a한트케, 페터
245 00 a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d페터 한트케 지음;e홍경호 옮김
260 a서울:b마당문고사,c1983
300 a235p.;c18cm
440 a마당문고;v089
507 aHandke, Peter
507 t(Der)Kurze brief zum langen abschied
650 a소설a독일
700 1 a홍경호,e옮김
950 aFB
950 b₩980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저자명
홍경호 옮김
총서명
마당문고; v089
발행사항
서울: 마당문고사 1983
형태사항
235p; 18cm

소장정보

청구기호 : 853.6 핸228긴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270688
청구기호
853.6 핸228긴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한트케, 페터
2016-09-28
   고독함은 느낀다는 것은 집합이었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군중 속에서도 외로움을 느낀다. 이 글의 주인공은 그 외로움을 느꼈던 것 같다. 그러나 그의 아내가 떠나기 전까지는 그 외로움의 실체를 알지 못했다. 떠난 아내를 찾으러 가는 과정에서 주인공은 두 가지 의미의 이별을 깨닫는다. 첫번째는 아내와의 이별과 두번째는 자신이 속한 전통적 관념으로부터의 이별이다. 첫 문장부터 주인공이 바라보는 사물들은 어딘가 위태롭고 위험해보인다. 패터 한트케는 전통적 글쓰기를 보다 도전적인 글을 선호했다. 그는 이데올로기 안에 언어가 존재한다고 파악하여 사물, 대상의 있는 그대로의 상태를 쓰는 것을 탈피하려고 했다. 그래서 그의 문체와 주인공이 아내를 찾으러가는 여행이 적절한 불안감을 나타냈다고 생각한다. 결국 주인공은 여행과정에서 세상에 내던져진 자신의 존재를 깨닫고 과거 자신 뿐이던 인식에서 '우리라는 공동체'를 깨닫는다. 이별을 통해 공존이라는 것을 깨닫는 아이러니한 스토리다. 작가는 암울한 사회에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주인공처럼 군중 속에서 각자의 외로움을 갖고 살고 있으며 그럼에도 '같이, 함께' 나아가자는 메시지 말이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