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269156
005 20140717153715
008 900630s1996 bnk m FB 000a kor
040 a221008
100 a최윤경
245 00 a1920년대 경남지방의 야학활동/d최윤경 [저]. -
260 a부산:b동아대학교,c1996. -
300 a64장.;c27cm. -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c 역사교육전공d1996년2월
520 b영문초록 : Evening school was started for the enlightment of the non-havings through the spread of the new education and rapidly increased after 3·1 movement in 1919 and after mid 1920's was transferred from the enlightmental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people's evening school. So, the result of reviewing of various journals and datas of focusing Kyung-nam area from Japan which the social movement advanced informed us that the evening school activities which quantitively increased in 1920's had much to do with the social movements. These are following. First, evening school is the people's education facility which individual or private group established for farmers, workers or children of the poor who had lost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Is divided into the evening school which gives the simple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colonial evening school which is established for colonial education. Second, evening school had the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its development period and leading power. It was In early 1920's that enlightmental character of evening school in Kyung-nam area was extended widely. in mid 1920's its character was remarkably changed to people's evening school as the spread of socialism ideology in mid 1920's caused the labor movement to be active and each group to lead the activities of the evening school. Therefore, building of evening school which was the educational place for the non-havings was used for ideological movement and gathering each social organization itself. Third, in the 1920's various social movements such as Labor Movement, Youth Movement, Sinkanhoi, hyungpyungsa came out and their important business was education for the non-havings, namely,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evening school. The reason they chose the education activity as the priority business seems that because evening school was needed to get the leadership within their organizations and to strengthen their unity rather than because educational situation was very poor at that time. Fourth, the youth led the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evening school in early 1920's. The new intellectual youth led it in their community for enlightment by letters learning and after mid 1920 socialism youth or groups led it. Major places are Pusan, Kimhae, Youngsan, etc. Fifth, the non-havings' children had the high rate among social positions of education objects, which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social and economical starvation of Chosen by enforcing 「Land Investigation Enterprise」 and 「Plan of Increasing Rice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extbooks of evening school were so various that besides subjects such as korean, arithmethic, japanese, books about labor which inspired class consciousness of labors and farmers, and socialism books were read. Method of supplying the cost developed from indivisual support to the way of joint charge or trainees' and organizations' self-supportings. Sixth, Japan closed the evening schools for the reason of the ideological problem of individual or group that led them, which showed that Japan suppressed them in order to remove its social organizations. So all organizations including Japanese social organizations resisted persistently because the suppressing or blocking of evening schools by Japan was expected to lead to the removal of their organizations. Evening schools of Kyung-nam area in the 1920's had too much to do with their social organizations in mid 1920which showed that they enlightmented the non-havings and supported their organization structure.
520 b한글초록 : 야학은 구한말 신교육 보급을 통한 무산대중의 계몽을 목적으로 시작되어, 1919년 3.1운동을 지나면서 급속한 양적증대가 나타난다. 이와함께 사회주의 사상이 확산되는 1920년대 중반이후 초기의 계몽적 성격의 벗어나, 민중야학의 성격을 나타낸다. 일제 시기 사회운동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된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각종 언론지와 일제측의 자료등을 검토해 본 결과, 1920년대 양적 확대가 이루어진 야학활동이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사회운동과 매우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야학이란 제도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무산대중의 자제나 노동자, 농민을 대상으로 개인 또는 사설단체가 설립한 민중교육기관이며, 단순한 교육기회를 부여한 계몽적 야학과 민족의식이나 계급의식이 전제된 민중적 야학, 식민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된 식민성 야학으로 크게 나뉜다. 둘째, 야학은 그 발전시기와 주도세력에 따라 성격의 차이를 나타낸다. 경남지역에서 약학의 확대가 가장 폭넓게 이루어지는 것은 1920년대 초반이나, 당시의 야학은 계몽적 성격을 지닌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이후 사회주의 이념의 확산으로 노, 농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각 단체들이 야학활동을 주도하게 되자, 민중야학으로 그 성격이 현저히 변화하였다. 그리하여 원래 무산대중의 교육공간인 야학의 □□가 이 시기에 이르면 단순한 문자학습이나 계몽시설의 차원을 넘어 각 사회조직 자체의 결집장소와 理想敎育의 場으로 활용되었다. 셋째, 1920년대 경남지방에서는 노동운동, 농민운동, 청년운동, 신간회, 형평사등 각종 사회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이들 각 단체들이 중점을 두었던 사업은 무산 대중을 위한 교육활동, 즉 야학의 설립과 운영이었다. 이들이 교육활동을 중점사업으로 두었던 것은 당시의 교육상황이 매우 열악하였기 때문이지만, 그보다 야학활동을 통해 각 사회단체의 조직을 확대하고 결속을 강화하면서, 아울러 조직내에서 주도권을 쟁취하기 위해 야학이 필요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넷째, 야학을 설립하거나 운영을 주도했던 사람은 주로 청년이었다. 1920년대초에는 해당 군의 신 지식청년이 문자학습등을 통한 계몽의 목적으로, 1920년대 중반이후에는 사회주의 청년이나 단체가 이를 주도하였다. 그 대표적인 지역이 부산, 김해, 양산, 마산등이다. 다섯째, 야학의 수강대상자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은 무산자의 자제로 기존의 연구에서 노동자, 농민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는 것과 차이가 있다. 이는 1910-1920년대 '토지조사 사업'과 '산미증식계획'등의 실시로 인한 조선의 사회 경제적 상황이 대중적 기아상태였음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시기에 이르면 야학의 교과목도 다양해져 조선어, 산술, 일본어등의 기본과목외에 노동자, 농민의 계급의식 고취를 위한 노동관계의 서적과 사회주의 사상을 교육하는 서적이 탐독되기도 한다. 경비의 조달방법도 유지등 개인의 후원에서 벗어나 마을 전체의 공동부담 형식이나 수강자 자신들의 노력, 경영단체의 자구책이 모색되는 등 한층 발전된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여섯째, 일제의 야학폐쇄는 야학을 주도한 자들의 단체나 개인의 사상을 문제삼은 것이 대부분 이었다. 이로써 일제가 사회단체들을 해소하기 위해 야학을 탄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체들은 일제의 야학 탄압이나 폐쇄가 그들 조직의 해체와도 직결되었으므로, 끝까지 저항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1920년대 경남지방의 야학은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제 사회단체와 상당히 밀착되어 있었는데, 그 이유는 무산대중의 각성을 기함과 동시에 자체조직의 도모에 있었기 때문이다.
541 c수증;a정재훈 인문과학대학 사학과 교수;d1998.10.27e(E0583073)
650 a교육학a야학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1582
950 aFB
950 a비매품b₩3,000c(추정가)
1920년대 경남지방의 야학활동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1920년대 경남지방의 야학활동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동아대학교 1996. -
형태사항
64장; 27cm. -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1996년2월
주기사항
영문초록 : Evening school was started for the enlightment of the non-havings through the spread of the new education and rapidly increased after 3·1 movement in 1919 and after mid 1920's was transferred from the enlightmental character to the character of people's evening school. So, the result of reviewing of various journals and datas of focusing Kyung-nam area from Japan which the social movement advanced informed us that the evening school activities which quantitively increased in 1920's had much to do with the social movements. These are following. First, evening school is the people's education facility which individual or private group established for farmers, workers or children of the poor who had lost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Is divided into the evening school which gives the simple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colonial evening school which is established for colonial education. Second, evening school had the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its development period and leading power. It was In early 1920's that enlightmental character of evening school in Kyung-nam area was extended widely. in mid 1920's its character was remarkably changed to people's evening school as the spread of socialism ideology in mid 1920's caused the labor movement to be active and each group to lead the activities of the evening school. Therefore, building of evening school which was the educational place for the non-havings was used for ideological movement and gathering each social organization itself. Third, in the 1920's various social movements such as Labor Movement, Youth Movement, Sinkanhoi, hyungpyungsa came out and their important business was education for the non-havings, namely,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evening school. The reason they chose the education activity as the priority business seems that because evening school was needed to get the leadership within their organizations and to strengthen their unity rather than because educational situation was very poor at that time. Fourth, the youth led the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evening school in early 1920's. The new intellectual youth led it in their community for enlightment by letters learning and after mid 1920 socialism youth or groups led it. Major places are Pusan, Kimhae, Youngsan, etc. Fifth, the non-havings' children had the high rate among social positions of education objects, which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social and economical starvation of Chosen by enforcing 「Land Investigation Enterprise」 and 「Plan of Increasing Rice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at this time textbooks of evening school were so various that besides subjects such as korean, arithmethic, japanese, books about labor which inspired class consciousness of labors and farmers, and socialism books were read. Method of supplying the cost developed from indivisual support to the way of joint charge or trainees' and organizations' self-supportings. Sixth, Japan closed the evening schools for the reason of the ideological problem of individual or group that led them, which showed that Japan suppressed them in order to remove its social organizations. So all organizations including Japanese social organizations resisted persistently because the suppressing or blocking of evening schools by Japan was expected to lead to the removal of their organizations. Evening schools of Kyung-nam area in the 1920's had too much to do with their social organizations in mid 1920which showed that they enlightmented the non-havings and supported their organization structure. / 한글초록 : 야학은 구한말 신교육 보급을 통한 무산대중의 계몽을 목적으로 시작되어, 1919년 3.1운동을 지나면서 급속한 양적증대가 나타난다. 이와함께 사회주의 사상이 확산되는 1920년대 중반이후 초기의 계몽적 성격의 벗어나, 민중야학의 성격을 나타낸다. 일제 시기 사회운동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된 경남지방을 중심으로 각종 언론지와 일제측의 자료등을 검토해 본 결과, 1920년대 양적 확대가 이루어진 야학활동이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사회운동과 매우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야학이란 제도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무산대중의 자제나 노동자, 농민을 대상으로 개인 또는 사설단체가 설립한 민중교육기관이며, 단순한 교육기회를 부여한 계몽적 야학과 민족의식이나 계급의식이 전제된 민중적 야학, 식민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된 식민성 야학으로 크게 나뉜다. 둘째, 야학은 그 발전시기와 주도세력에 따라 성격의 차이를 나타낸다. 경남지역에서 약학의 확대가 가장 폭넓게 이루어지는 것은 1920년대 초반이나, 당시의 야학은 계몽적 성격을 지닌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이후 사회주의 이념의 확산으로 노, 농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각 단체들이 야학활동을 주도하게 되자, 민중야학으로 그 성격이 현저히 변화하였다. 그리하여 원래 무산대중의 교육공간인 야학의 □□가 이 시기에 이르면 단순한 문자학습이나 계몽시설의 차원을 넘어 각 사회조직 자체의 결집장소와 理想敎育의 場으로 활용되었다. 셋째, 1920년대 경남지방에서는 노동운동, 농민운동, 청년운동, 신간회, 형평사등 각종 사회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이들 각 단체들이 중점을 두었던 사업은 무산 대중을 위한 교육활동, 즉 야학의 설립과 운영이었다. 이들이 교육활동을 중점사업으로 두었던 것은 당시의 교육상황이 매우 열악하였기 때문이지만, 그보다 야학활동을 통해 각 사회단체의 조직을 확대하고 결속을 강화하면서, 아울러 조직내에서 주도권을 쟁취하기 위해 야학이 필요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넷째, 야학을 설립하거나 운영을 주도했던 사람은 주로 청년이었다. 1920년대초에는 해당 군의 신 지식청년이 문자학습등을 통한 계몽의 목적으로, 1920년대 중반이후에는 사회주의 청년이나 단체가 이를 주도하였다. 그 대표적인 지역이 부산, 김해, 양산, 마산등이다. 다섯째, 야학의 수강대상자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은 무산자의 자제로 기존의 연구에서 노동자, 농민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는 것과 차이가 있다. 이는 1910-1920년대 '토지조사 사업'과 '산미증식계획'등의 실시로 인한 조선의 사회 경제적 상황이 대중적 기아상태였음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 시기에 이르면 야학의 교과목도 다양해져 조선어, 산술, 일본어등의 기본과목외에 노동자, 농민의 계급의식 고취를 위한 노동관계의 서적과 사회주의 사상을 교육하는 서적이 탐독되기도 한다. 경비의 조달방법도 유지등 개인의 후원에서 벗어나 마을 전체의 공동부담 형식이나 수강자 자신들의 노력, 경영단체의 자구책이 모색되는 등 한층 발전된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여섯째, 일제의 야학폐쇄는 야학을 주도한 자들의 단체나 개인의 사상을 문제삼은 것이 대부분 이었다. 이로써 일제가 사회단체들을 해소하기 위해 야학을 탄압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체들은 일제의 야학 탄압이나 폐쇄가 그들 조직의 해체와도 직결되었으므로, 끝까지 저항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1920년대 경남지방의 야학은 1920년대 중반에 이르러 제 사회단체와 상당히 밀착되어 있었는데, 그 이유는 무산대중의 각성을 기함과 동시에 자체조직의 도모에 있었기 때문이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370.13 최675천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52486
청구기호
370.13 최675천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Ⅱ-2
대출상태
대출불가 (GUEST 로그인)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52487
청구기호
370.13 최675천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Ⅱ-2
대출상태
대출불가 (GUEST 로그인)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75802
청구기호
370.13 최675천 =3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대학원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83073
청구기호
370.13 최675천 =4
별치기호
G0057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Ⅱ-2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