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286457
005 20140822163339
008 981003s1998 bnk FB 000a kor
040 a221008
100 a장경란
245 00 a포스트 모던댄스의 형성과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d장경란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1998.
300 a93장 ;c27cm.
502 a학위논문(석사) :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c무용교육전공,d1998.8
520 b영문초록 :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trend of the whole dance circles in order to investigate formation and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postmodern dance which has become influential since the 1960s. A group of Judson Choreogreps, inspired by Merce Cunningham and Robert Dunn, broke traditional formula in the composition of danceing movements and in the way of expression opposing the structural form of 'traditional' modern dance. They have developped the various way of dance composition by the substantial and minimal approaches to the dance since the 1960s and showed their philosophical efforts to explore the relative way of existence against the modern dance. After the 1970s they, who had once separated in order to act individually in their own ways, met together to form a new group centering around Grand Union, Meredith Monk, and Twyla Tharp, for their new creation, and presented a 'free' and 'democratic' style of dance composition. And after the 1980s, they tried to use a bit new way of mixed multimedia by a compromise and a harmony with theatricalism, and this could be worried about the negative situation that they might return to traditionalism. However, this should be rated as a revaluation of tradition. Some concret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dance are as follows: First, postmodern dance denied any traditional formula in the composition of notion and in the way of expression opposing the structural form of modern dance. Second, in order to avoid the condition of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from a highly specialized dance, it accepted the daily movements, broadened the region of dance language, and thought over the motions of dance seriously. Third, modern dance combines organically several elements in order to represent a theme, while postmodern dance acknowledged an individuality of each element in the complete artistic field, and connected the, and represented them individually. Fourth, postmodern dancers produced their own works adopting a way of casuality in order to dent stability, expectancy, and the commonplace arising from the intentional plan and manipulation. Fifth, postmodern dance escaped from a traditional. concept of dance space, mysticism of dancers, and some fixed ideas. Sixth, postmodern dance pursuited not only a substantial purpose of dance art in itself but also the aesthetics of daily life. In this respect, an attitude to receive through a perspective of an appreciator must be needed on the point that the above activities developped variously. And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it is undeniable that the dance circles are not consciously awakened earlier than other artistic circles,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e dance circles started to think over and criticize the structure and the form of dance. Therefore a more progressive aesthetics of dance can be achieved by criticizing and receiving selectively the reformative and creative wills of the precedent modern dancers and their independent artistic activities rather than by accepting as they are.
520 b한글초록 :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 춤예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충족에 부응하여 생성된 예술사조의 한 흐름으로서 무용예술에 큰 주류를 감당하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포스트 모던댄스(post-modern dance)의 형성과 전개양상을 통하여 포스트 모던댄스 안무가들이 추구하려한 예술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포스트 모던댄스의 이론적 배경은 사조사적으로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을 그 기저로 삼고 있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은 후기 상징주의 및 인상주의, 데카당으로 부터 시작된 원모더니즘(proro modernism, 1980∼1909)과 이미지즘·신고전주의·다다이즘·초현실주의에서 미래파, 입체파, 표현주의에 이르는 구모더니즘(palro modernism, 1909∼1950)의 단계를 거치는 사조적 흐름과 함께 60년대에 새롭게 형성된 일종의 모더니즘 비판 혹은, 새로운 모더니즘의 추구로서 범주화되고 역사화된 개념이다. 20세기 들어와 미국을 기점으로 발전해 나간 모던댄스의 전통이나 관습·가치·신앙·이념으로 부터 해방을 추구하였던 포스트 모던댄스 안무가들은 정확히 그 구성의 내용을 단정짓기 어려운 일종의 전위(avant-garde)무용으로서 새롭게 창작된 무용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위무용은 60년대 미국 무용계에서 탈(說) 마사그레이엄적 현상이 부분적으로 일어나는 가운데 커닝햄을 기점으로 저드슨 교회의 많은 안무가들이 실험적 차원의 새로운 무용을 창출해 내는 것에서부터 그 시발점을 두고 발전하게 된다. 즉, 당시의 포스트 모던댄스의 발단은 경제적 소득수준의 향상과 물질만능주의의 팽배라는 시대적 상황과 어울려 무용예술 또한 발레의 규범성에 반발하여 인간 신체의 자유로운 해방을 내세운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의 춤으로부터 시작된 모던 댄스가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의 무용기법에 의해 정형화된 틀로 고착화됨에 따라, 모던댄스 역시 또다시 새로운 움직임을 추구하는 일련의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포스트 모던적 안무스타일의 시도가 점차 확산되어 갔던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 모던댄스의 전개양상은 80년대를 거치면서 현재까지 그들만의 독창적 예술형식을 가지며 진행중이라 할 수 있으며, 포스트 모던댄스의 가장 본질적인 미적 특징은 전형화되고 고정화된 스타일의 지배와 구속에서 벗어나 일상적 움직임 속에 모순·모호성·복합성을 인정하는 무용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그 구체적 예술적 특성을 간추려보면, 첫째, 이전의 모던댄스에 대한 구조적 형식에 반발하여 그 동작구성이나 표현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전통적 방식도 거부하였으며, 둘째, 춤의 고도화된 전문화로 인하여 소통불가능한 상태를 탈피하기 위하여 일상적 움직임을 수용함으로써 춤언어의 확장 또는 춤 동작에 대한 보다 진지한 숙고가 이루어졌다. 셋째, 완성된 예술장르의 각 요소들간의 독립성을 인정하여 이를 대등한 관계로 연결하였으며, 넷째, 의도된 계획과 조작에서 오는 안정성과 예측성, 평범성을 거부하기 위해 우연성의 방식을 채택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다섯째, 무용공간에 대한 전통적 개념과 무용수에 대한 신비주의 또는 여러 가지 고정관념에서 벗어났다. 이러한 일상성과 대중성이라는 성향을 가지고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해 나간 포스트 모던댄스의 발전과 그 진정한 예술세계에 대하여 올바로 이해하고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653 a포스트모던댄스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9260
950 0 a비매품b\3000c(추정가격)
포스트 모던댄스의 형성과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포스트 모던댄스의 형성과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1998.
형태사항
93장 ; 27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무용교육전공, 1998.8
주기사항
영문초록 :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trend of the whole dance circles in order to investigate formation and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postmodern dance which has become influential since the 1960s. A group of Judson Choreogreps, inspired by Merce Cunningham and Robert Dunn, broke traditional formula in the composition of danceing movements and in the way of expression opposing the structural form of 'traditional' modern dance. They have developped the various way of dance composition by the substantial and minimal approaches to the dance since the 1960s and showed their philosophical efforts to explore the relative way of existence against the modern dance. After the 1970s they, who had once separated in order to act individually in their own ways, met together to form a new group centering around Grand Union, Meredith Monk, and Twyla Tharp, for their new creation, and presented a 'free' and 'democratic' style of dance composition. And after the 1980s, they tried to use a bit new way of mixed multimedia by a compromise and a harmony with theatricalism, and this could be worried about the negative situation that they might return to traditionalism. However, this should be rated as a revaluation of tradition. Some concret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dance are as follows: First, postmodern dance denied any traditional formula in the composition of notion and in the way of expression opposing the structural form of modern dance. Second, in order to avoid the condition of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from a highly specialized dance, it accepted the daily movements, broadened the region of dance language, and thought over the motions of dance seriously. Third, modern dance combines organically several elements in order to represent a theme, while postmodern dance acknowledged an individuality of each element in the complete artistic field, and connected the, and represented them individually. Fourth, postmodern dancers produced their own works adopting a way of casuality in order to dent stability, expectancy, and the commonplace arising from the intentional plan and manipulation. Fifth, postmodern dance escaped from a traditional. concept of dance space, mysticism of dancers, and some fixed ideas. Sixth, postmodern dance pursuited not only a substantial purpose of dance art in itself but also the aesthetics of daily life. In this respect, an attitude to receive through a perspective of an appreciator must be needed on the point that the above activities developped variously. And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it is undeniable that the dance circles are not consciously awakened earlier than other artistic circles,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e dance circles started to think over and criticize the structure and the form of dance. Therefore a more progressive aesthetics of dance can be achieved by criticizing and receiving selectively the reformative and creative wills of the precedent modern dancers and their independent artistic activities rather than by accepting as they are. / 한글초록 :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 춤예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충족에 부응하여 생성된 예술사조의 한 흐름으로서 무용예술에 큰 주류를 감당하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닐, 포스트 모던댄스(post-modern dance)의 형성과 전개양상을 통하여 포스트 모던댄스 안무가들이 추구하려한 예술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포스트 모던댄스의 이론적 배경은 사조사적으로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을 그 기저로 삼고 있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은 후기 상징주의 및 인상주의, 데카당으로 부터 시작된 원모더니즘(proro modernism, 1980∼1909)과 이미지즘·신고전주의·다다이즘·초현실주의에서 미래파, 입체파, 표현주의에 이르는 구모더니즘(palro modernism, 1909∼1950)의 단계를 거치는 사조적 흐름과 함께 60년대에 새롭게 형성된 일종의 모더니즘 비판 혹은, 새로운 모더니즘의 추구로서 범주화되고 역사화된 개념이다. 20세기 들어와 미국을 기점으로 발전해 나간 모던댄스의 전통이나 관습·가치·신앙·이념으로 부터 해방을 추구하였던 포스트 모던댄스 안무가들은 정확히 그 구성의 내용을 단정짓기 어려운 일종의 전위(avant-garde)무용으로서 새롭게 창작된 무용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위무용은 60년대 미국 무용계에서 탈(說) 마사그레이엄적 현상이 부분적으로 일어나는 가운데 커닝햄을 기점으로 저드슨 교회의 많은 안무가들이 실험적 차원의 새로운 무용을 창출해 내는 것에서부터 그 시발점을 두고 발전하게 된다. 즉, 당시의 포스트 모던댄스의 발단은 경제적 소득수준의 향상과 물질만능주의의 팽배라는 시대적 상황과 어울려 무용예술 또한 발레의 규범성에 반발하여 인간 신체의 자유로운 해방을 내세운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의 춤으로부터 시작된 모던 댄스가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의 무용기법에 의해 정형화된 틀로 고착화됨에 따라, 모던댄스 역시 또다시 새로운 움직임을 추구하는 일련의 현상들이 일어나면서 포스트 모던적 안무스타일의 시도가 점차 확산되어 갔던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 모던댄스의 전개양상은 80년대를 거치면서 현재까지 그들만의 독창적 예술형식을 가지며 진행중이라 할 수 있으며, 포스트 모던댄스의 가장 본질적인 미적 특징은 전형화되고 고정화된 스타일의 지배와 구속에서 벗어나 일상적 움직임 속에 모순·모호성·복합성을 인정하는 무용예술에 대한 전반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그 구체적 예술적 특성을 간추려보면, 첫째, 이전의 모던댄스에 대한 구조적 형식에 반발하여 그 동작구성이나 표현방식에 있어서 어떠한 전통적 방식도 거부하였으며, 둘째, 춤의 고도화된 전문화로 인하여 소통불가능한 상태를 탈피하기 위하여 일상적 움직임을 수용함으로써 춤언어의 확장 또는 춤 동작에 대한 보다 진지한 숙고가 이루어졌다. 셋째, 완성된 예술장르의 각 요소들간의 독립성을 인정하여 이를 대등한 관계로 연결하였으며, 넷째, 의도된 계획과 조작에서 오는 안정성과 예측성, 평범성을 거부하기 위해 우연성의 방식을 채택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다섯째, 무용공간에 대한 전통적 개념과 무용수에 대한 신비주의 또는 여러 가지 고정관념에서 벗어났다. 이러한 일상성과 대중성이라는 성향을 가지고 독자적인 양식을 구축해 나간 포스트 모던댄스의 발전과 그 진정한 예술세계에 대하여 올바로 이해하고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685.1 장14포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80191
청구기호
685.1 장14포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80879
청구기호
685.1 장14포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대학원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