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294893
005 20140822161747
008 000515s1999 bnka FB 000 kor
040 a221008
041 akorbeng
056 a638.323
100 a김지영
245 00 a조선조 경대에 나타난 금구장식에 관한 연구/d김지영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1999
300 aix,92장 :b삽도 ;c26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c공예교육,d1999
520 b영문초록 : Kyungdae, a Korean traditional table with brilliance and precision enough to make rooms remarkable, is ornamental as well as practical to be seen as a beauty in our life. Sophisticated and precise techniques and variations for the table which involves characteristics, structures and designs of the Chosun Dynasty's wooden furnitures are more excellent than any other furnitures of any periods. All craftworks are manufactured reflecting people's lifestyles and environments. Similarly, furnitures of the kingdom of Chosun vary in their use as follows. First, Kyungdae consists of steel plates, body and legs, and classified as general, simple and special in terms of type. Second, various materials of Kyungdae include woods, Najuchilki and Hwagak. For woods, ginkgo, zelkova, pine and persimmons trees are used, especially pine trees whose grains are maintained unchanged as soon as possible to represent natural beauty. The table is considered as having been enjoyed mainly by the upper-class, since luxury materials such as Okpan and Daemo, and mother-of-pearl are also used for its decoration and because of its elaborate techniques. Third, golden adornments on Kyungdae are made of white bronze, brass and cast iron in ord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That is, among the materials, white bronze is mainly used for Kyungdae or Ham(a Korean traditional case) which is smaller and more brilliant than any other room furnitures. Fourth, the adornments including hinges, front plates(Apbatang), iron handles(Dulsoi), rings, locks, Kamjapee, ear ornaments(Keijangsik) and Kwangdoojung are classified as functional, decorative and combinative. They have variations in shape. Yakkwa-shaped hinges, arrow-shaped and bat-shaped iron handles, peach-shaped rings, candle-shaped Kamjapee and flower-shaped ear ornaments are used frequently in most cases. And fifth, decorative designs of Kyungdae are diversified. Like in other furnitures, ten long-living objects(Shipjangsaeng), bats, turtles, peaches, magnolia, flowers and birds, and mountains and rivers are designed to reflect wishes for longevity, happiness, eternal youth and immortality, which is influenced by contemporary social trends. Especially bats are most used for design, since the animals symbolize descendents' prosperity. Included in things designed relatively more are turtles, mandarin ducks, butterflies, flowers and birds, and the Four Gracious Plants. This study on Kyungdae, an excellent and culturally valuable thing, supports formation of newly modern culture and any other academic studies of traditional furnitures. Consequently, Such a systemic and analytic study will give an opportunity of developing modem golden adornments, eventually restoring the beauty, characteristics and strong points of our unique belongings with our own pride and dignity, I hope.
520 b한글초록 : 경대는 화려하면서도 정밀하여 내실을 빛내 주었던 화장 가구로, 실용적인 면과 장식적인 면을 고루 갖추었던 생활 속의 미장물(美裝物) 이었다. 또한 조선조 목 가구의 특징적인 형태와 구조, 문양을 집약, 축소시킨 가구로서 섬세하고 정교한 기법과 다양성은 어느 시대 어떤 가구와도 견줄 수 없다고 본다. 모든 공예품들이 그 민족의 생활상과 환경의 영향으로 형성되듯 이 조선조 가구도 용도 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경대의 형태는 천판, 몸통, 다리로 되어 있으며 구조는 일반형, 간이형, 특수형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둘째, 경대의 재료는 목재, 나전칠기, 화각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목재는 주로 은행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물풀레나무, 감나무, 화류중 소나무와 괴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목리를 최대한으로 살려 자연미를 나타내었다. 옥판이나 대모와 같은 고급 재료 등과 자개를 장식 재료로 썼으며 기법이 정교하여 상류층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셋째, 금구장식의 재료로는 백동, 황동, 시우쇠·무쇠의 순으로써 안방가구중 작고 화려한 경대나 함에는 여러 나무들과 잘 어울리는 백동장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넷째, 금구장식 즉 경첩, 앞바탕, 들쇠, 고리, 자물쇠, 감잡이, 귀장식, 광두정 등을 기능적인 것과 장식적인 것, 구조를 보강하면서 장식적인 것들로 알맞게 사용되어 있으며 그 모습도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약과형 경첩, 활형 들쇠, 박쥐형들쇠 천도형고리, 초형감잡이, 화형귀장식등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슴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장식 문양도 다채롭다. 문양은 다른 가구의 문양에서도 그러하듯 이 당시의 사회적 풍조의 영향인 재앙을 면하여 오래 살 수 있기를 바라는 뜻의 수복강령과 불로장생 등을 기원하는 십장생, 박쥐, 거북, 천도, 목단, 화조문, 산수문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특히, 박쥐는 자손의 장성과 번식을 의미하는 뜻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거북, 원앙, 나비, 화조문, 매난 국죽등도 많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우수한 문화적 가치를 연구하는 일은 전통가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현대의 새로운 문화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우리 것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갖고 그것의 특징과 장점을 살려 그 동안 단절되다시피한 우리의 미를 회생시키는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 연구하여 현대 금구장식의 발전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653 a경대a금구장식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7937
950 0 a비매품b\3000c(추정가)
조선조 경대에 나타난 금구장식에 관한 연구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조선조 경대에 나타난 금구장식에 관한 연구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1999
형태사항
ix,92장 : 삽도 ;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공예교육, 1999
주기사항
영문초록 : Kyungdae, a Korean traditional table with brilliance and precision enough to make rooms remarkable, is ornamental as well as practical to be seen as a beauty in our life. Sophisticated and precise techniques and variations for the table which involves characteristics, structures and designs of the Chosun Dynasty's wooden furnitures are more excellent than any other furnitures of any periods. All craftworks are manufactured reflecting people's lifestyles and environments. Similarly, furnitures of the kingdom of Chosun vary in their use as follows. First, Kyungdae consists of steel plates, body and legs, and classified as general, simple and special in terms of type. Second, various materials of Kyungdae include woods, Najuchilki and Hwagak. For woods, ginkgo, zelkova, pine and persimmons trees are used, especially pine trees whose grains are maintained unchanged as soon as possible to represent natural beauty. The table is considered as having been enjoyed mainly by the upper-class, since luxury materials such as Okpan and Daemo, and mother-of-pearl are also used for its decoration and because of its elaborate techniques. Third, golden adornments on Kyungdae are made of white bronze, brass and cast iron in ord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That is, among the materials, white bronze is mainly used for Kyungdae or Ham(a Korean traditional case) which is smaller and more brilliant than any other room furnitures. Fourth, the adornments including hinges, front plates(Apbatang), iron handles(Dulsoi), rings, locks, Kamjapee, ear ornaments(Keijangsik) and Kwangdoojung are classified as functional, decorative and combinative. They have variations in shape. Yakkwa-shaped hinges, arrow-shaped and bat-shaped iron handles, peach-shaped rings, candle-shaped Kamjapee and flower-shaped ear ornaments are used frequently in most cases. And fifth, decorative designs of Kyungdae are diversified. Like in other furnitures, ten long-living objects(Shipjangsaeng), bats, turtles, peaches, magnolia, flowers and birds, and mountains and rivers are designed to reflect wishes for longevity, happiness, eternal youth and immortality, which is influenced by contemporary social trends. Especially bats are most used for design, since the animals symbolize descendents' prosperity. Included in things designed relatively more are turtles, mandarin ducks, butterflies, flowers and birds, and the Four Gracious Plants. This study on Kyungdae, an excellent and culturally valuable thing, supports formation of newly modern culture and any other academic studies of traditional furnitures. Consequently, Such a systemic and analytic study will give an opportunity of developing modem golden adornments, eventually restoring the beauty, characteristics and strong points of our unique belongings with our own pride and dignity, I hope. / 한글초록 : 경대는 화려하면서도 정밀하여 내실을 빛내 주었던 화장 가구로, 실용적인 면과 장식적인 면을 고루 갖추었던 생활 속의 미장물(美裝物) 이었다. 또한 조선조 목 가구의 특징적인 형태와 구조, 문양을 집약, 축소시킨 가구로서 섬세하고 정교한 기법과 다양성은 어느 시대 어떤 가구와도 견줄 수 없다고 본다. 모든 공예품들이 그 민족의 생활상과 환경의 영향으로 형성되듯 이 조선조 가구도 용도 면에서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경대의 형태는 천판, 몸통, 다리로 되어 있으며 구조는 일반형, 간이형, 특수형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둘째, 경대의 재료는 목재, 나전칠기, 화각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목재는 주로 은행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물풀레나무, 감나무, 화류중 소나무와 괴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목리를 최대한으로 살려 자연미를 나타내었다. 옥판이나 대모와 같은 고급 재료 등과 자개를 장식 재료로 썼으며 기법이 정교하여 상류층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셋째, 금구장식의 재료로는 백동, 황동, 시우쇠·무쇠의 순으로써 안방가구중 작고 화려한 경대나 함에는 여러 나무들과 잘 어울리는 백동장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넷째, 금구장식 즉 경첩, 앞바탕, 들쇠, 고리, 자물쇠, 감잡이, 귀장식, 광두정 등을 기능적인 것과 장식적인 것, 구조를 보강하면서 장식적인 것들로 알맞게 사용되어 있으며 그 모습도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약과형 경첩, 활형 들쇠, 박쥐형들쇠 천도형고리, 초형감잡이, 화형귀장식등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슴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장식 문양도 다채롭다. 문양은 다른 가구의 문양에서도 그러하듯 이 당시의 사회적 풍조의 영향인 재앙을 면하여 오래 살 수 있기를 바라는 뜻의 수복강령과 불로장생 등을 기원하는 십장생, 박쥐, 거북, 천도, 목단, 화조문, 산수문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특히, 박쥐는 자손의 장성과 번식을 의미하는 뜻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거북, 원앙, 나비, 화조문, 매난 국죽등도 많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우수한 문화적 가치를 연구하는 일은 전통가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현대의 새로운 문화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우리 것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갖고 그것의 특징과 장점을 살려 그 동안 단절되다시피한 우리의 미를 회생시키는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 연구하여 현대 금구장식의 발전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638.3 김78조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95730
청구기호
638.3 김78조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95731
청구기호
638.3 김78조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