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n
001 2210080281459
005 20140821161002
008 980429s1998 bnka d FB 001a kor
040 a221008
100 a황우상
245 00 a한글VDT화면의 설계특성 및 가독성 요인의 인간공학적 연구/d황우상. -
260 a부산:b동아대학교,c1998. -
300 aix,110장.:b삽도;c26cm. -
502 a학위논문(박사)-b동아대학교 대학원c산업공학과 전공d1998년2월
520 b영문초록 : In these days, it is common to use a VDT screen for documentation, search, and communication, and the VDT work environment differs greatly from the conventional operation environment in both work methods and its load.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t research on display of Korean character compared to that of English. For the efficient information transfer on the VDT screen as well as designing of it, the systematic and ergonomic research for Korean typography is needed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o the legibility such as letter size, style, space between lines and letters. In this paper, for the effective VDT screen design,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quantify four VDT design parameters such as total density, local density, grouping and layout complex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DT scree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se four quantified parameters. Also the optimum levels of characteristics of the VDT screen for the performance were found from the experimen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existing VDT screens as well as an aid to design the effective VDT screen. Visibility, legibility, and readability could be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humans in perceiving letters. In searching tasks, however legi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make each word distinguishable from others. Such factors as typing style, letter size, line length, space between lines or letters, width of letter, amount and size of information, printing area, margin, contrast, and lighting could affect legibility. In this study, the optimum criteria of typing style, letter size, space between the lines and the letters which could largely affect the legibility were found by the experiment and were presented as guidelines to design Korean VDT screens. Sinc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the human performance based on the VDT screen design, searching speed (S.S) and error rate (E) were used as the criteria of performance, and CFF value was measured to evaluate user's visual fatigue. The EOG value was also measured for the visual restriction during the experiment for the space between the lines and letters. The shortest searching time was shown at the local density of 43%, and the best performance was shown at 5 groups and at the visual angle of less than 5°. Better performance was shown at the lower level of layout complexity. Each factors such as letter size, space between the lines and the letters showed linear relationship to the performance, and Gothic style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Ming style. For the letter size, the visual angles of 35.4' - 55.5' for Ming style and 39.8' - 52.6' for Gothic style were shown to have the best performance result and decreased rate of CFF value was lower at the bigger letter size For the space between the letters, the best performance was shown at 0 ∼ 30% and decreased rate of CFF value was the lowest at -10∼30%. The results of EOG showed that visual restriction was less at 0∼30% than others. From the results, the optimum space between the letters could be recommended at 0∼30%. For the space between the lines, the best performance was shown at 110∼ 150% and decreased rate of CFF value was the lowest at 140∼160%. The results of EOG showed that visual restriction was less at 110∼ 140% than others. The optimum space between the lines could be recommended at 110∼ 140%.
520 b한글초록 : 한글 VDT 화면을 통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화면 설계뿐만 아니라 화면 내의 한글 표현 양식과 관련한 글자크기, 글자체 및 자간, 행간격 등과 같은 한글의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인간공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면의 전체밀도, 부분밀도, 그룹화 및 배치복잡성 등 화면 설계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화면 상호간의 비교분석을 가능케 하고, 작업자 수행도가 가장 좋은 각 특성치의 최적 수준을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효율적인 VDT 화면 양식을 설계하는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작성된 화면 설계를 평가하는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이 문자를 인식하는 중요 특성으로는 가시성(visibility), 가독성(legibility) 및 읽힘성(readability) 등을 들 수 있으나 탐색작업에 있어서는 문자가 다른 것들과 구별되게 하는 속성을 일컫는 가독성이 제일 중요하며, 가독성의 중요요인으로는 글자체, 글자크기, 행의 길이, 행간간격, 자간간격, 획폭, 페이지나 판형의 크기, 인쇄면적, 여백 등의 시각적 요인과 조명, 대비 등의 환경적 요소도 포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영문자와 한글과의 문자 구조 특성상 가독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글자체 및 글자의 크기, 자간간격, 행간간격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최적 수준을 찾아 탐색작업용 한글 VDT 화면의 설계지침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의 기준으로는 탐색작업의 수행시간과 오류율을 선정하였으며, 정신적 피로를 측정하는 CFF(critical flicker fusion frequency)치의 변화 추이도 조사하였다. 특히, 자간간격과 행간간격 실험에서는 안구운동의 변화도 사용자의 시각성능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EOG(electrooculogram) 실험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VDT 화면의 설계특성에 관한 실험에서 탐색시간은 부분밀도가 약 43%일 때 가장 짧게 나타났고, 그룹수가 5개, 그룹의 크기가 시각 5°(0.088㎭)이내일 때 가장 좋은 수행도를 보였다. 배치복잡성은 그 수준이 낮을수록 좋은 수행도를 보였다. 한글 가독성 요인에 관한 실험에서 각 요인(글자크기, 자간간격, 행간간격)은 수행도에 선형적으로 작용하였고, 수행도가 가장 좋은 한글 VDT 서체는 고딕체였다. 글자크기는 명조체의 경우 시각이 35.4'~55.5', 고딕체의 경우는 39.8'~52.6'일 때 수행도가 우수하고, 글자크기가 작은 것보다 큰 것에서 CFF 저하율이 낮게 나타났다. 자간 간격이 0~30%일 때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로도 분석에서는 자간 간격이 -10~30% 일 때 피로도가 비교적 낮았다. EOG에서는 0~30%일 때 다른 자간간격보다 시각적 부담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DT 화면에 표현된 한글의 가장 적절한 자간간격은 0~30%로 제시할 수 있다. 행간간격 실험에서는 110~150%일 때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로도 분석에서는 140~160%일 때 피로도가 가장 낮았다. EOG 실험에서는 110~140%일 때 다른 행간간격보다 시각적 부담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DT 화면에 표현된 한글 행간간격은 110~140% 일 때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650 a한글VDT화면a인간공학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9806
950 aFB
950 b₩3,000
한글VDT화면의 설계특성 및 가독성 요인의 인간공학적 연구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한글VDT화면의 설계특성 및 가독성 요인의 인간공학적 연구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동아대학교 1998. -
형태사항
ix,110장: 삽도; 26cm. -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박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전공 1998년2월
주기사항
영문초록 : In these days, it is common to use a VDT screen for documentation, search, and communication, and the VDT work environment differs greatly from the conventional operation environment in both work methods and its load.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t research on display of Korean character compared to that of English. For the efficient information transfer on the VDT screen as well as designing of it, the systematic and ergonomic research for Korean typography is needed on the factors which affect to the legibility such as letter size, style, space between lines and letters. In this paper, for the effective VDT screen design,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quantify four VDT design parameters such as total density, local density, grouping and layout complex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DT screen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se four quantified parameters. Also the optimum levels of characteristics of the VDT screen for the performance were found from the experimen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existing VDT screens as well as an aid to design the effective VDT screen. Visibility, legibility, and readability could be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humans in perceiving letters. In searching tasks, however legibil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make each word distinguishable from others. Such factors as typing style, letter size, line length, space between lines or letters, width of letter, amount and size of information, printing area, margin, contrast, and lighting could affect legibility. In this study, the optimum criteria of typing style, letter size, space between the lines and the letters which could largely affect the legibility were found by the experiment and were presented as guidelines to design Korean VDT screens. Sinc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test the human performance based on the VDT screen design, searching speed (S.S) and error rate (E) were used as the criteria of performance, and CFF value was measured to evaluate user's visual fatigue. The EOG value was also measured for the visual restriction during the experiment for the space between the lines and letters. The shortest searching time was shown at the local density of 43%, and the best performance was shown at 5 groups and at the visual angle of less than 5°. Better performance was shown at the lower level of layout complexity. Each factors such as letter size, space between the lines and the letters showed linear relationship to the performance, and Gothic style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Ming style. For the letter size, the visual angles of 35.4' - 55.5' for Ming style and 39.8' - 52.6' for Gothic style were shown to have the best performance result and decreased rate of CFF value was lower at the bigger letter size For the space between the letters, the best performance was shown at 0 ∼ 30% and decreased rate of CFF value was the lowest at -10∼30%. The results of EOG showed that visual restriction was less at 0∼30% than others. From the results, the optimum space between the letters could be recommended at 0∼30%. For the space between the lines, the best performance was shown at 110∼ 150% and decreased rate of CFF value was the lowest at 140∼160%. The results of EOG showed that visual restriction was less at 110∼ 140% than others. The optimum space between the lines could be recommended at 110∼ 140%. / 한글초록 : 한글 VDT 화면을 통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서는 화면 설계뿐만 아니라 화면 내의 한글 표현 양식과 관련한 글자크기, 글자체 및 자간, 행간격 등과 같은 한글의 가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인간공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면의 전체밀도, 부분밀도, 그룹화 및 배치복잡성 등 화면 설계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화면 상호간의 비교분석을 가능케 하고, 작업자 수행도가 가장 좋은 각 특성치의 최적 수준을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효율적인 VDT 화면 양식을 설계하는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작성된 화면 설계를 평가하는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이 문자를 인식하는 중요 특성으로는 가시성(visibility), 가독성(legibility) 및 읽힘성(readability) 등을 들 수 있으나 탐색작업에 있어서는 문자가 다른 것들과 구별되게 하는 속성을 일컫는 가독성이 제일 중요하며, 가독성의 중요요인으로는 글자체, 글자크기, 행의 길이, 행간간격, 자간간격, 획폭, 페이지나 판형의 크기, 인쇄면적, 여백 등의 시각적 요인과 조명, 대비 등의 환경적 요소도 포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영문자와 한글과의 문자 구조 특성상 가독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글자체 및 글자의 크기, 자간간격, 행간간격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최적 수준을 찾아 탐색작업용 한글 VDT 화면의 설계지침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의 기준으로는 탐색작업의 수행시간과 오류율을 선정하였으며, 정신적 피로를 측정하는 CFF(critical flicker fusion frequency)치의 변화 추이도 조사하였다. 특히, 자간간격과 행간간격 실험에서는 안구운동의 변화도 사용자의 시각성능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EOG(electrooculogram) 실험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VDT 화면의 설계특성에 관한 실험에서 탐색시간은 부분밀도가 약 43%일 때 가장 짧게 나타났고, 그룹수가 5개, 그룹의 크기가 시각 5°(0.088㎭)이내일 때 가장 좋은 수행도를 보였다. 배치복잡성은 그 수준이 낮을수록 좋은 수행도를 보였다. 한글 가독성 요인에 관한 실험에서 각 요인(글자크기, 자간간격, 행간간격)은 수행도에 선형적으로 작용하였고, 수행도가 가장 좋은 한글 VDT 서체는 고딕체였다. 글자크기는 명조체의 경우 시각이 35.4'~55.5', 고딕체의 경우는 39.8'~52.6'일 때 수행도가 우수하고, 글자크기가 작은 것보다 큰 것에서 CFF 저하율이 낮게 나타났다. 자간 간격이 0~30%일 때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로도 분석에서는 자간 간격이 -10~30% 일 때 피로도가 비교적 낮았다. EOG에서는 0~30%일 때 다른 자간간격보다 시각적 부담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DT 화면에 표현된 한글의 가장 적절한 자간간격은 0~30%로 제시할 수 있다. 행간간격 실험에서는 110~150%일 때 수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로도 분석에서는 140~160%일 때 피로도가 가장 낮았다. EOG 실험에서는 110~140%일 때 다른 행간간격보다 시각적 부담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VDT 화면에 표현된 한글 행간간격은 110~140% 일 때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530.99 황67한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73244
청구기호
530.99 황67한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75213
청구기호
530.99 황67한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575216
청구기호
530.99 황67한 =3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