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362110
005 20140710154152
008 011102s2001 bnka FB 000 kor
040 a221008
041 akorbeng
056 a375.226124
100 a권명선
245 00 a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이 초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 및 주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d권명선
260 a부산:b동아대학교,c2001
300 av, 89p.:b삽도;c26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c교육상담전공,d2001
520 b영문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on the Reduction of Test Anxiety and the Improvement of Asser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5th grade children. For the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hypotheses. Ⅰ :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test anxiety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and the control group. Ⅰ-1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test anxiety scor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Ⅰ-2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test anxiety scor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ciality. Ⅱ :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and the control group. Ⅱ-1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Ⅱ-2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ciality. For the purpose, the subjects of the included 5th grade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Pusan. Means used to survey the subjects included 'TAI-K Anxiety test' adapted by Moonju Kim(1990), 'Assertiveness test' adapted by Rakos and Schroeder(1980), 'Sociality test' adapted by Sanglo Lee, Changjin Beun and Weekoe Jin. The program of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was made with a main referened to assistant skills user by Changjin Beun and Sunghae Kim(1980).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0 students, over 10 times(November.2000). Statistical data as obtained were processed through pre- and post tests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test. Conclusions suggested b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doe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anxiety.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est anxiety score was showed that Gills did better than Boys. Thir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est anxiety score was showed that the high levels of sociality did better than the low levels of sociality.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doe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ssertiveness test. Fift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was showed that Boys did better than Gills. Sixt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was showed that the high levels of sociality did better than the low levels of sociality.
520 b한글초록 :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주장훈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에게 실시했을 때 시험불안 수준 감소와 주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Ⅰ :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을 받은 집단(실험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통제집단)의 시험불안 검사 득점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Ⅰ-1 : 실험집단에 있어 시험불안 수준은 성별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Ⅰ-2 : 실험집단에 있어 시험불안 수준은 사회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 :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을 받은 집단(실험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통제집단)의 시험불안 검사 득점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1 : 실험집단에 있어 주장성 수준은 성별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2 : 실험집단에 있어 주장성 수준은 사회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 시내 B급 G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검사도구는 김문주(1990)가 TAI를 기초로 하여 한국학생들에게 맞도록 문항을 개발한 TAI-K 시험불안 검사, Rakos와 Schroeder(19800의 주장성 검사, 이상로, 변창진, 진위교의 사회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놀이 중시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은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4,5,6학년 아동의 수준에 알맞게 놀이 중심으로 전지현(1995)이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은 실험집단 20명에게 2000년 11월 1일부터 2000년 11월 30일깢 1회에 60~90분씩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t-검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시험불안검사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남자가 여자보다 시험불안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사회성 수준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시험불안 검사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주장성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주장성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사회성 수준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주장성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시험불안 감소 및 주장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론에 따라 놀이 중시의 주장 훈련을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워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초등학생들의 인성 발달 및 생활지도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653 a교육상담a주장훈련a초등학생a시험불안a주장성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4015
950 0 a가격불명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이 초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 및 주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이 초등학생의 시험불안 감소 및 주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동아대학교 2001
형태사항
v, 89p: 삽도;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상담전공, 2001
주기사항
영문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on the Reduction of Test Anxiety and the Improvement of Asser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5th grade children. For the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hypotheses. Ⅰ :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test anxiety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and the control group. Ⅰ-1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test anxiety scor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Ⅰ-2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test anxiety scor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ciality. Ⅱ :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and the control group. Ⅱ-1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Ⅱ-2 :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ill be difference in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ociality. For the purpose, the subjects of the included 5th grade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Pusan. Means used to survey the subjects included 'TAI-K Anxiety test' adapted by Moonju Kim(1990), 'Assertiveness test' adapted by Rakos and Schroeder(1980), 'Sociality test' adapted by Sanglo Lee, Changjin Beun and Weekoe Jin. The program of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was made with a main referened to assistant skills user by Changjin Beun and Sunghae Kim(1980).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0 students, over 10 times(November.2000). Statistical data as obtained were processed through pre- and post tests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n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test. Conclusions suggested b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doe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anxiety.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est anxiety score was showed that Gills did better than Boys. Thir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test anxiety score was showed that the high levels of sociality did better than the low levels of sociality.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Assertiveness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rough Play does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assertiveness test. Fift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was showed that Boys did better than Gills. Sixt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ssertiveness test score was showed that the high levels of sociality did better than the low levels of sociality. / 한글초록 :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주장훈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에게 실시했을 때 시험불안 수준 감소와 주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Ⅰ :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을 받은 집단(실험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통제집단)의 시험불안 검사 득점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Ⅰ-1 : 실험집단에 있어 시험불안 수준은 성별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Ⅰ-2 : 실험집단에 있어 시험불안 수준은 사회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 :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을 받은 집단(실험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통제집단)의 시험불안 검사 득점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1 : 실험집단에 있어 주장성 수준은 성별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2 : 실험집단에 있어 주장성 수준은 사회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 시내 B급 G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검사도구는 김문주(1990)가 TAI를 기초로 하여 한국학생들에게 맞도록 문항을 개발한 TAI-K 시험불안 검사, Rakos와 Schroeder(19800의 주장성 검사, 이상로, 변창진, 진위교의 사회성 검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놀이 중시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은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4,5,6학년 아동의 수준에 알맞게 놀이 중심으로 전지현(1995)이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은 실험집단 20명에게 2000년 11월 1일부터 2000년 11월 30일깢 1회에 60~90분씩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PC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t-검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시험불안검사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남자가 여자보다 시험불안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사회성 수준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시험불안 검사에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주장성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주장성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실시하였더니, 사회성 수준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주장성 검사에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놀이 중심의 주장 훈련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시험불안 감소 및 주장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론에 따라 놀이 중시의 주장 훈련을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워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면 초등학생들의 인성 발달 및 생활지도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375.2261 권34놀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726191
청구기호
375.2261 권34놀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726192
청구기호
375.2261 권34놀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