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a
001 2210080345967
005 20140905133032
008 000218s2000 ulka FB 000 kor
040 a221008
041 akorbeng
056 a376.7b23
100 a양정석
245 00 a공업계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d양정석.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2000.
300 aiv,55장 : 삽도 ;c27 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대학원:c공업교육전공,d2000.
520 b영문초록 : In order to make a career education and a career counsel more efficiently, we have to turn out occupational values suggested by Super(1983), career maturity which is the attitude and ability of each one toward occupation is related to the value of occupation resulted in pre-study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so that I felt it necessary to turn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of our yo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1)what relationship is betwee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2)how different career maturity is by grade and sex and 3)what difference is occupational values according to religion, sex and grade i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Taking example from 128 students of P industrial high school and 146 of K industrial high school, totally 274 of 8 classes, I studied. There were 151 of male and 123 of female about sex, 138 of first year, 136 of second year by grade, according to having religion or not, there were students, 158 who have it,(Christian 43, Buddhist 98, Catholic 10, the rest 7) but 116 has no religion. This study used 36 questions of career attitudinal test developed through standardization study by Jang suk-min in KEI. The method of occupational value test was referred from occupational value test developed by co-workers, Impelletteri and Kapes in Pennsylvania university, and this study used 20 questions revised fitting up domestic situation. The test of occupational value and attitudinal career maturity was placed from the 8^(th) of September to 2l^(st) of the month in 1999. It was yielded from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proved p<0.05 by one side test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grade and sex was proved as T in p<0.05. That is the main result of the end.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was proved positive correlation (0.3063) limited in 5% of significance i n aptitude, interest and initiative among 5 items and negative correlation (-0.1922) limited in 5% of it in salary, living, economic reward, and negative correlation (- 0.1525) limited in 5% of it in society class and fame. There was no relationship in the rest (devotion to social service, the future and stabilization). It means that the students who think lower value more importantly show shallow attitudinal career maturity than others. Secondly, in a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the difference by sex and grade is that female is higher than male (t=-3.047, p<0.05) and second year student than first year (t=-2.3957, p<0.05) i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It was coherent to most of pre-study. At last, in an industrial high school by grade, sex and religion, male students thought lower value (salary, living, economic reward:t=2.2861, p<0.05) more precious than female students. By grade,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according as they are believer and non believer, religious students thought higher value more important than non-believer (salary, living, economic reward:t=-2.2658, p<0.05; social service and devotion:t=2.2352, p<0.05). This result shows that religion plays an important role to help students get right career view.
520 b한글초록 :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진로 태도 성숙 수준과 직업 가치간의 관계,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이 성별·학년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직업가치가 성별·학년별·종교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내 P공고 128명과 K공고 146명으로 총274명(8개 학급)이었다. 남자 151명과 여자 123명이며, 1학년 138명과 2학년 136명이었고, 종교를 가진 학생이 158명 그리고 종교가 없는 학생이 116명이었다. 진로 태도 성숙 검사에 사용된 도구는 장석민(1991)의 진로태도검사 36문항을 사용하였고, 직업 가치 검사에 사용된 도구는 Impelleteri와 Kapes(1971)가 공동 개발한 직업 가치 검사를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개발한 20문항을 사용하였다. 직업 가치 검사와 진로 태도 성숙 검사의 시기는 1999년 9월 18일에서 21일 사이에 실시되었으며 결과의 통계처리는 진로 태도 성숙과 직업 가치간의 상관을 적률상관계수로 산출하였고 상관계수의 유의성을 단측 검증 p〈.05로 하였으며, 성별·학년별·종교의 유무간의 차이는 유의 수준 p〈.05에서 t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 주요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태도 성숙과 직업 가치간의 상관은 직업 가치 5개 항목 중 적성·흥미·창의성 가치 항목이 유의 수준 5%에서 정적 상관(.3063)이었고, 보수·생계·경제적 보상 가치 항목이 유의 수준 5%에서 부적 상관(-.1922)이었으며 사회적 지위·명예 가치 항목이 5% 유의 수준에서 부적 상관(-.1525)이 있었다. 나머지 두 가지 가치 항목(사회 봉사와 공헌, 장래성과 안정성)은 유의할만한 상관이 없었다. 이는 하위적 가치에 더 높은 중요성을 두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진로 태도 성숙도가 낮은 수준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별·학년별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의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이 높았고(t=-3.0407, p〈.05), 2학년이 1학년에 비해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이 높았다(t=-2.3957, p〈.05). 이는 대부분의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었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별·학년별·종교의 유·무에 따른 직업 가치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하위적 가치에 더 높은 중요성을 두었고 종교를 가진 학생이 종교가 없는 학생에 비해 하위적 가치에 더 높은 중요성을 두었으며, 학년 별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53 a공업계고등학생a진로태도a직업가치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3337
950 0 a비매품b\3000c(추정가)
공업계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공업계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2000.
형태사항
iv,55장 : 삽도 ; 27 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공업교육전공, 2000.
주기사항
영문초록 : In order to make a career education and a career counsel more efficiently, we have to turn out occupational values suggested by Super(1983), career maturity which is the attitude and ability of each one toward occupation is related to the value of occupation resulted in pre-study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so that I felt it necessary to turn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of our you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1)what relationship is betwee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2)how different career maturity is by grade and sex and 3)what difference is occupational values according to religion, sex and grade i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Taking example from 128 students of P industrial high school and 146 of K industrial high school, totally 274 of 8 classes, I studied. There were 151 of male and 123 of female about sex, 138 of first year, 136 of second year by grade, according to having religion or not, there were students, 158 who have it,(Christian 43, Buddhist 98, Catholic 10, the rest 7) but 116 has no religion. This study used 36 questions of career attitudinal test developed through standardization study by Jang suk-min in KEI. The method of occupational value test was referred from occupational value test developed by co-workers, Impelletteri and Kapes in Pennsylvania university, and this study used 20 questions revised fitting up domestic situation. The test of occupational value and attitudinal career maturity was placed from the 8^(th) of September to 2l^(st) of the month in 1999. It was yielded from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significance of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proved p<0.05 by one side test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grade and sex was proved as T in p<0.05. That is the main result of the end.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and occupational values was proved positive correlation (0.3063) limited in 5% of significance i n aptitude, interest and initiative among 5 items and negative correlation (-0.1922) limited in 5% of it in salary, living, economic reward, and negative correlation (- 0.1525) limited in 5% of it in society class and fame. There was no relationship in the rest (devotion to social service, the future and stabilization). It means that the students who think lower value more importantly show shallow attitudinal career maturity than others. Secondly, in a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the difference by sex and grade is that female is higher than male (t=-3.047, p<0.05) and second year student than first year (t=-2.3957, p<0.05) in attitudinal career maturity. It was coherent to most of pre-study. At last, in an industrial high school by grade, sex and religion, male students thought lower value (salary, living, economic reward:t=2.2861, p<0.05) more precious than female students. By grade,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according as they are believer and non believer, religious students thought higher value more important than non-believer (salary, living, economic reward:t=-2.2658, p<0.05; social service and devotion:t=2.2352, p<0.05). This result shows that religion plays an important role to help students get right career view. / 한글초록 :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진로 태도 성숙 수준과 직업 가치간의 관계,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이 성별·학년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직업가치가 성별·학년별·종교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내 P공고 128명과 K공고 146명으로 총274명(8개 학급)이었다. 남자 151명과 여자 123명이며, 1학년 138명과 2학년 136명이었고, 종교를 가진 학생이 158명 그리고 종교가 없는 학생이 116명이었다. 진로 태도 성숙 검사에 사용된 도구는 장석민(1991)의 진로태도검사 36문항을 사용하였고, 직업 가치 검사에 사용된 도구는 Impelleteri와 Kapes(1971)가 공동 개발한 직업 가치 검사를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개발한 20문항을 사용하였다. 직업 가치 검사와 진로 태도 성숙 검사의 시기는 1999년 9월 18일에서 21일 사이에 실시되었으며 결과의 통계처리는 진로 태도 성숙과 직업 가치간의 상관을 적률상관계수로 산출하였고 상관계수의 유의성을 단측 검증 p〈.05로 하였으며, 성별·학년별·종교의 유무간의 차이는 유의 수준 p〈.05에서 t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 주요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태도 성숙과 직업 가치간의 상관은 직업 가치 5개 항목 중 적성·흥미·창의성 가치 항목이 유의 수준 5%에서 정적 상관(.3063)이었고, 보수·생계·경제적 보상 가치 항목이 유의 수준 5%에서 부적 상관(-.1922)이었으며 사회적 지위·명예 가치 항목이 5% 유의 수준에서 부적 상관(-.1525)이 있었다. 나머지 두 가지 가치 항목(사회 봉사와 공헌, 장래성과 안정성)은 유의할만한 상관이 없었다. 이는 하위적 가치에 더 높은 중요성을 두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진로 태도 성숙도가 낮은 수준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별·학년별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의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이 높았고(t=-3.0407, p〈.05), 2학년이 1학년에 비해 진로 태도 성숙 수준이 높았다(t=-2.3957, p〈.05). 이는 대부분의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었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별·학년별·종교의 유·무에 따른 직업 가치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하위적 가치에 더 높은 중요성을 두었고 종교를 가진 학생이 종교가 없는 학생에 비해 하위적 가치에 더 높은 중요성을 두었으며, 학년 별로는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376.7 양74공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701421
청구기호
376.7 양74공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701422
청구기호
376.7 양74공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