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362057
005 20140715101402
008 011101s2001 bnka FB 000 kor
040 a221008
041 akorbeng
056 a539.7324
100 a박상규
245 00 a釜山市 都心土地利用의 變化特性에 관한 硏究/d朴相奎
260 a부산:b東亞大學校,c2001
300 avii, 111장:b삽도;c26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대학원:c도시공학과,d2001
520 b영문초록 : CBD is a central place for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cial activity of the city. In other words, it is a commercial changes of CBD influence greatly to development of entire urban region positively or negatively. Significance of research on the CBD results from this point. With the help of progress of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Busan hans been explicit in the growth of sub-CBD early, comparing with other cities of Korea. The growth of Nampo district has been remarkable in aid of export advancement according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since 1970s. Seomyun district has developed as an important place with the assistance of development of north-east region in the city according to the rapid urbanization since 1980s. Recently, remarkable factors on the growth or the inaction of the two centers has also came into existence within the city. There from, this paper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BDs Change on the basis of three points of time, 1980, 1990 and 2000s.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The functions of entertainment-and-food, retail and business have decreased in the district of Nampo during 1980-2000. The functions of entertainment-and-food and business have increased and retail has decreased in Seomyun district during the same period. Second, In the standpoint of degree of specialization by each function, business function has specialized in Jungang-Dong of Nampo district and around cross road in Seomyun district. In the course of time, high class entertainment-and-food has distributed evenly over the two centers. Retail function has always located in the peak land value sites. Third, Busan becomes bellow in the two centers because residential use has rapidly decreased in the both districts. This paper could discover that functional differeniation of the CBD in the two districts has appeared explicitly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ince 1990s, reviewing the above land use change of the CBD. Thus, it is understood that rational and effective reorganization of the CBD is needed in near future.
520 b한글초록 : CBD(Central Business Distrect)는 도시내에서 정치, 경제, 문화, 사회활동의 중심지로서 CBD의 상업적인 변화는 도시지역전체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심에 관한 연구는 의의가 있다. 부산시는 한국의 여타도시에 비해서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와 함께 부도심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남포지구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서면지구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내 북동지역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중심지로서 발전하였다. 최근에는 두 지역 간의 성장 또는 쇠퇴의 요인들이 도시내에 산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 1990, 2000년의 3개 연도를 시점으로 하여 CBD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시의 도심지구인 남포지구와 서면지구의 약 20년간에 도심경제활동 수 변화특성은 남포지구에서는 도심지배적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유흥음식, 소매, 업무기능 등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면지구에서는 업무와 유흥음식기능은 증가하고 있으나 소매기능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한 도심기능변화특성분석 결과 남포지구와 서면지구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성은 도심기능의 분화과정을 거쳐서 유사한 도심 기능끼리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시계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남포지구보다 서면지구에서 기능분화가 명확히 나타나고 있다. 셋째, 각 지구별 도심토지이용변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포지구의 경우 1980년에서 2000년까지 약 20년동안 토지이용의 분화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유사한 기능들이 하나의 요인으로 구분되어서 도심기능간의 분화된 토지이용이용 분포가 몇몇 기능을 제외하고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급소매, 일반소매기능과 같은 도심기능분류상 상위위계의 기능들은 남포지구내 최고지가지점을 중심으로 핵심지역에 입지 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나, 업무기능은 지구동축의 중앙동 지역에 군집을 이루어 나타나고 있다. 고급유흥음식의 경우 1980년과 1990년에는 남포지구의 핵심지역에 위치한 블록에 특화되어 있으나, 2000년에는 업무기능과 숙박기능이 특화되어 있는 블록의 주변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일반유흥음식과 문화·오락기능은 남포로와 인접하여 양호한 접근성을 갖춘 블록에서 특화되어 있으며, 공공업무기능과 같은 비영리기관과 경쟁력이 낮은 기능들은 도심 핵심지역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블록에서 입지하고 있다. 서면지구의 경우 업무기능과 소매기능은 서면교차로 및 간선가로와 인접한 블록에서 특화되어 입지하고 있고 유흥음식기능과 문화·오락기능은 그 배면에 위치한 블록들에서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공공업무와 숙박기능은 도심 중심지보다는 외곽부에서 입지하고 있고 일반서비스기능 등은 특정블록에서 우위를 나타내기보다는 서면지구 전체에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계 기구기능은 1980년에서 2000년까지 지구 동측에 위치한 다수의 블록에서 군집을 이루어 나타나고 있으나, 그 경제활동수는 감소하고 있다. 서면지구의 토지이용 변화특성을 통해서 도심기능분류상 상위위계에 속해있는 업무, 고급유흥음식, 고급소매 등의 도심기능은 고지가를 형성하고 있는 핵심지역에 입지하고 비영리기관이나 지대지불능력이 낮은 하위위계의 기능들은 핵심지역 주변에서 입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연구결과를 통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사회·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남포지구와 서면지구에서의 도심기능분화과정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1990년 이후에는 더욱더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에 따른 시대별 도심토지이용변화도 나타나고 있어 장래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도심공간구조의 재편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653 a부산시a도심토지이용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5054
950 0 a가격불명
釜山市 都心土地利用의 變化特性에 관한 硏究
종류
학위논문 동서
서명
釜山市 都心土地利用의 變化特性에 관한 硏究
저자명
발행사항
부산: 東亞大學校 2001
형태사항
vii, 111장: 삽도;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2001
주기사항
영문초록 : CBD is a central place for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cial activity of the city. In other words, it is a commercial changes of CBD influence greatly to development of entire urban region positively or negatively. Significance of research on the CBD results from this point. With the help of progress of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Busan hans been explicit in the growth of sub-CBD early, comparing with other cities of Korea. The growth of Nampo district has been remarkable in aid of export advancement according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since 1970s. Seomyun district has developed as an important place with the assistance of development of north-east region in the city according to the rapid urbanization since 1980s. Recently, remarkable factors on the growth or the inaction of the two centers has also came into existence within the city. There from, this paper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BDs Change on the basis of three points of time, 1980, 1990 and 2000s.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The functions of entertainment-and-food, retail and business have decreased in the district of Nampo during 1980-2000. The functions of entertainment-and-food and business have increased and retail has decreased in Seomyun district during the same period. Second, In the standpoint of degree of specialization by each function, business function has specialized in Jungang-Dong of Nampo district and around cross road in Seomyun district. In the course of time, high class entertainment-and-food has distributed evenly over the two centers. Retail function has always located in the peak land value sites. Third, Busan becomes bellow in the two centers because residential use has rapidly decreased in the both districts. This paper could discover that functional differeniation of the CBD in the two districts has appeared explicitly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ince 1990s, reviewing the above land use change of the CBD. Thus, it is understood that rational and effective reorganization of the CBD is needed in near future. / 한글초록 : CBD(Central Business Distrect)는 도시내에서 정치, 경제, 문화, 사회활동의 중심지로서 CBD의 상업적인 변화는 도시지역전체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심에 관한 연구는 의의가 있다. 부산시는 한국의 여타도시에 비해서 급속한 도시화 및 산업화와 함께 부도심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남포지구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서면지구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내 북동지역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중심지로서 발전하였다. 최근에는 두 지역 간의 성장 또는 쇠퇴의 요인들이 도시내에 산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 1990, 2000년의 3개 연도를 시점으로 하여 CBD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시의 도심지구인 남포지구와 서면지구의 약 20년간에 도심경제활동 수 변화특성은 남포지구에서는 도심지배적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유흥음식, 소매, 업무기능 등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면지구에서는 업무와 유흥음식기능은 증가하고 있으나 소매기능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한 도심기능변화특성분석 결과 남포지구와 서면지구 모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성은 도심기능의 분화과정을 거쳐서 유사한 도심 기능끼리 하나의 요인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시계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남포지구보다 서면지구에서 기능분화가 명확히 나타나고 있다. 셋째, 각 지구별 도심토지이용변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포지구의 경우 1980년에서 2000년까지 약 20년동안 토지이용의 분화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유사한 기능들이 하나의 요인으로 구분되어서 도심기능간의 분화된 토지이용이용 분포가 몇몇 기능을 제외하고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급소매, 일반소매기능과 같은 도심기능분류상 상위위계의 기능들은 남포지구내 최고지가지점을 중심으로 핵심지역에 입지 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나, 업무기능은 지구동축의 중앙동 지역에 군집을 이루어 나타나고 있다. 고급유흥음식의 경우 1980년과 1990년에는 남포지구의 핵심지역에 위치한 블록에 특화되어 있으나, 2000년에는 업무기능과 숙박기능이 특화되어 있는 블록의 주변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일반유흥음식과 문화·오락기능은 남포로와 인접하여 양호한 접근성을 갖춘 블록에서 특화되어 있으며, 공공업무기능과 같은 비영리기관과 경쟁력이 낮은 기능들은 도심 핵심지역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블록에서 입지하고 있다. 서면지구의 경우 업무기능과 소매기능은 서면교차로 및 간선가로와 인접한 블록에서 특화되어 입지하고 있고 유흥음식기능과 문화·오락기능은 그 배면에 위치한 블록들에서 특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공공업무와 숙박기능은 도심 중심지보다는 외곽부에서 입지하고 있고 일반서비스기능 등은 특정블록에서 우위를 나타내기보다는 서면지구 전체에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계 기구기능은 1980년에서 2000년까지 지구 동측에 위치한 다수의 블록에서 군집을 이루어 나타나고 있으나, 그 경제활동수는 감소하고 있다. 서면지구의 토지이용 변화특성을 통해서 도심기능분류상 상위위계에 속해있는 업무, 고급유흥음식, 고급소매 등의 도심기능은 고지가를 형성하고 있는 핵심지역에 입지하고 비영리기관이나 지대지불능력이 낮은 하위위계의 기능들은 핵심지역 주변에서 입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연구결과를 통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사회·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남포지구와 서면지구에서의 도심기능분화과정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1990년 이후에는 더욱더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에 따른 시대별 도심토지이용변화도 나타나고 있어 장래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도심공간구조의 재편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539.73 박52부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726085
청구기호
539.73 박52부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726086
청구기호
539.73 박52부 =2
별치기호
D
소장위치
부민학위논문실
대출상태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책소개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