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누구나 한 번쯤 이 질문 앞에서 멈춰 선 적이 있을 것이다. 어릴 적 우리는 밝고 선한 세계만이 전부인 줄 알았다. 하지만 성장하며 그 틈새의 어둡고 혼란스러운 세계를 마주했고, 필연적으로 방황할 수밖에 없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도 성장을 이렇게 ‘규정된 선과 악’의 경계에서 고지식하게 만났을 것이다. 나 역시 그런 성장의 통증을 겪었고, 잠시 잊고 있던 ‘나’라는 질문을 다시 마주한 것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통해서였다.
<데미안>은 유명한 고전소설이자 대표적인 성장 소설이다. 책을 나름 좋아한다고 자부하는 필자이지만, 고전소설은 조금 어렵고 다른 영역처럼 느껴졌다. 그 때문에 남들보다 조금 늦게 이 책을 접했다. 하지만 성장을 마친 후에 만난 <데미안>은 오히려 더 깊은 의미로 다가왔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은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이다.”라는 책의 서문처럼, 이 소설은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치열한 ‘내면의 기록’으로 읽혔기 때문이다. 마치 오래된 친구가 나의 가장 깊은 고민을 꿰뚫어 보듯, 저자는 ‘에밀 싱클레어’의 삶을 통해 나 자신을 바라보는 건강한 시선을 선물한다. 타인의 인정을 좇던 ‘착한 아이’의 껍질을 벗고, 삶의 방향이 희미해질 때마다 꺼내 볼 수 있는 날카로운 위로를 만난 기분이었다.
특히 주인공 싱클레어를 이끄는 ‘데미안’의 이야기는 내게 언제든 다시 꿋꿋하게 나만의 길을 걸어갈 용기를 주었다. 그는 싱클레어에게 맹목적인 선이 아닌, 자신만의 생각으로 판단하라고 말한다. 그런 그가 들려준 다음의 문장은 묵직한 울림을 주었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한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이 구절은 기존의 세계에 안주하려는 나약함과, 그럼에도 ‘진정한 나’를 찾고 싶은 열망이 부딪히는 것이 결코 헛된 몸부림이 아님을 말해준다. 결국 모든 성장은 자신만의 길을 힘쓰는 데 달려있음을 스스로 증명해 보인 것이다.
데미안 외에도, 선과 악을 동시에 품은 신 ‘아프락사스’, 그리고 모든 것을 포용하는 어머니상 ‘에바 부인’의 이야기 등 책 속의 상징들은 다채로운 깨달음을 안겨주었다. 책 속에서 데미안은 “우리가 가진 것 외에 다른 현실은 없다.”라고 말한다. 이는 나약함에 눈이 멀어 타인의 시선에 나를 가두었던 과거를 반성하게 한다. 우리는 외부의 잣대가 아닌 내면의 목소리에 집중할 때 비로소 온전한 삶을 지향할 수 있다. 이처럼 <데미안>은 과거의 기록을 넘어, 현재 나의 내면을 비추고 더 나은 선택을 하도록 돕는 거울이 되어준다.
<데미안>은 단순한 소설을 넘어, 삶이 벅찰 때마다 다시 마주해야 할 ‘내면의 목소리’에 관한 고전이다. 책을 덮으며, 시대를 초월하는 ‘자아’라는 가치를 만나고 싶은 이들에게 이 책이 가장 선명한 ‘울림’이 되어줄 것임을 확신한다. 수많은 ‘세계(알)’ 속에서 자신만의 ‘표식’을 찾아 고뇌하는 독자라면, 헤세가 그려낸 이 치열한 성장의 기록을 통해 묵직한 해답을 얻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