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쓰기

>>
서평쓰기
>
평생에 걸쳐 되새길 수 있는 삶의 안내서
도서명
저자/역자
헤르만 헤세
출판사명
민음사
출판년도
2009-01-20
독서시작일
2025년 10월 11일
독서종료일
2025년 10월 11일
서평작성자
김*서

서평내용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은 청소년 시절 한 번쯤 권유받거나 들어본 적이 있을 만큼 널리 읽히는 성장 소설이다. 하지만 단순히 ‘성장 소설’이라고만 규정하기에는 이 작품이 지닌 무게가 가볍지 않다. 《데미안》은 한 인간이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린다기보다, 스스로의 내면을 마주하고 고통스럽게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의 주인공 싱클레어는 ‘밝음과 어둠’이라는 두 세계 사이에서 방황한다. 가정과 학교가 제공하는 질서와 안락함, 그리고 그 이면에 존재하는 불안과 유혹이 서로 충돌하면서 그는 혼란을 겪는다. 여기서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데미안이다. 데미안은 싱클레어가 기존에 알던 세계의 가치관을 흔들고, 그로 하여금 스스로 사고하고 선택하게 만드는 인물이다. 데미안은 단순한 친구가 아니라, 일종의 정신적 안내자이자 또 다른 자아의 상징처럼 다가온다.

 

이 소설을 읽으며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아브락사스’라는 상징이었다. 선과 악, 빛과 어둠을 동시에 아우르는 존재로 제시되는 아브락사스는,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는 세계를 암시한다. 싱클레어가 아브락사스의 개념을 받아들이면서, 그는 더 이상 ‘착한 아이’와 ‘나쁜 아이’라는 단순한 틀 속에 갇히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의 내면에는 빛과 어둠이 공존하며, 그 양면성을 인정하는 순간 비로소 진정한 자아에 가까워질 수 있음을 깨닫는다. 이는 단지 문학적 장치에 그치지 않고, 독자에게도 큰 울림을 준다.

 

《데미안》을 읽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겪는 사춘기의 혼란과 불안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나 또한 학창 시절에는 옳고 그름, 선과 악, 규범과 자유 사이에서 갈팡질팡했던 경험이 있다. 그때는 ‘정답’을 찾으려 애썼지만, 시간이 지나 보니 정답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만들어 가는 것임을 조금은 알게 된 것 같다. 싱클레어의 고독한 탐색은 바로 그 점을 보여준다.

 

물론 《데미안》은 쉽고 편안하게 읽히는 작품은 아니다. 상징과 은유가 많이 사용되어 있고, 철학적 사유가 담겨 있어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여러 번 읽을 가치가 있다. 읽을 때마다 다른 구절이 마음에 와닿고, 그때의 내 삶의 고민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단순히 청춘의 방황을 다룬 소설이 아니라, 인간이 살아가며 자신을 찾아가는 모든 여정에 대한 이야기다. 특히 자신의 가치관이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이 작품을 통해 스스로의 내면을 탐색하는 계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빠른 전개나 명확한 결말을 기대하는 독자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삶의 방향을 잃은 순간, 혹은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싶을 때 이 책은 분명 큰 힘이 되어줄 것이다.

 

결국 이 작품은 ‘성장’을 하나의 목적지로 완결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질문의 과정으로 보여준다. 싱클레어가 데미안과의 만남을 통해 자기 자신을 찾아가듯, 독자 역시 이 소설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비추어보게 된다. 《데미안》은 단순히 청춘의 방황을 다룬 소설이 아니라, 평생에 걸쳐 우리가 반복해서 읽고 되새길 수 있는 삶의 안내서라고 생각한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