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쓰기

>>
서평쓰기
>
지금 나는 나 다운가?
도서명
저자/역자
헤르만 헤세
출판사명
민음사
출판년도
2009-01-20
독서시작일
2025년 10월 11일
독서종료일
2025년 10월 11일
서평작성자
곽*영

서평내용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은 한 인간이 성장하며 ‘진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깊이 있는 교양소설이다. 주인공 에밀 싱클레어는 어린 시절 따뜻하고 평온한 ‘밝은 세계’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동시에 그 바깥에는 거칠고 위협적인 ‘어두운 세계’가 존재함을 깨닫는다. 그는 학교에서 불량배 크로머에게 약점을 잡히며 처음으로 어둠의 세계에 발을 들인다. 이 사건은 싱클레어에게 인생의 첫 번째 균열을 만든다. 이전까지 보호받던 세계가 완전히 무너지고, 그는 처음으로 죄책감과 공포, 불안을 느낀다. 이때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막스 데미안이다.

 

데미안은 남들과는 다른 통찰력과 카리스마를 지닌 인물이다. 그는 크로머와의 문제를 해결해주며 싱클레어를 구원하지만, 단순한 ‘도와주는 친구’가 아니다. 데미안은 싱클레어가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게 만드는 정신적 스승이다. 그는 성경 속 ‘카인과 아벨’ 이야기를 기존의 도덕적 시선이 아닌, 인간 본질의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사람들은 카인을 죄인이라 부르지만, 어쩌면 그는 신의 낙인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기 길을 걸은 ‘각성한 인간’일지도 모른다는 그의 말은 싱클레어의 사고를 완전히 뒤흔든다. 이때부터 싱클레어는 선과 악, 빛과 어둠이라는 이분법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자신 안의 복합적인 감정과 욕망을 인정하려 한다.

 

작품의 줄거리는 겉보기엔 단순한 성장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자기 인식의 통로’라는 철학적 주제가 깔려 있다.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통해 사회적 규범과 도덕, 종교적 관념에 의문을 품게 된다. 이후 등장하는 에바 부인은 그가 완성된 자아로 나아가기 위한 마지막 단계의 상징적 존재다. 그녀는 어머니이자 연인, 이상적 자아의 형상으로, 싱클레어가 내면의 욕망과 불안을 받아들이게 만드는 거울 같은 인물이다. 결국 싱클레어는 전쟁이라는 시대적 혼란 속에서도 자신이 누구인지를 깨닫고, ‘남이 아닌 나의 길’을 선택하게 된다.

 

이 작품을 읽으며 가장 강렬했던 부분은 데미안의 ‘카인 해석’이었다. 나는 종교적 배경이 없어서 성경을 깊이 있게 접한 적이 없지만, 데미안의 해석은 기존의 교리를 완전히 다른 시각으로 보여줬다. 죄로 규정된 존재를 오히려 독립적 인간의 상징으로 보는 발상은 낯설었지만, 동시에 해방감이 있었다. 선과 악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인간의 시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메시지는 내게 큰 울림을 주었다. 나 스스로도 ‘착한 사람이어야 한다’, ‘정답을 선택해야 한다’는 사회의 기준 속에서 살고 있었기에, 이 장면은 ‘내가 믿는 옳음은 정말 내 생각일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했다.

 

또 하나 깊게 남은 장면은 초반의 크로머 에피소드였다. 크로머에게 지배당하는 싱클레어의 심리가 너무 생생하게 그려져서, 나까지 같이 숨이 막히는 느낌이었다. 그는 거짓말 하나로 점점 더 깊은 늪에 빠지고, 스스로 벗어나지 못한다. 그 공포와 무력감은 단순한 학교폭력의 묘사가 아니라, 인간 내면의 죄의식과 두려움을 상징한다. 그리고 데미안이 나타나 그 고리를 끊어주는 순간, 마치 ‘내 안의 용기’가 깨어나는 듯한 해방감을 느꼈다. 데미안은 단순히 외부의 구원자가 아니라, 싱클레어의 내면 속 또 다른 자아를 상징하는 인물로 읽힌다. 이 깨달음은 ‘구원은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피어나는 것’이라는 메시지로 확장된다.

 

『데미안』은 단순한 성장소설이 아니라, 인간이 스스로를 깨닫는 ‘내면의 혁명’을 다룬 작품이다. 싱클레어가 어둠을 거쳐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은, 결국 우리 모두가 겪는 혼란과도 닮아 있다. 사회가 만들어 놓은 틀 속에서 흔들리며 ‘나는 누구인가’를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나 또한 이 책을 읽으며 ‘나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내가 믿는 옳음은 정말 내 안에서 온 걸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다.

 

그래서 나는 『데미안』을 10~20대 청년들에게 강력히 추천하고 싶다. 진로, 인간관계, 신념 등 수많은 선택 앞에서 흔들리는 사람이라면, 이 책은 스스로를 비추는 거울이 되어줄 것이다. 헤르만 헤세는 말한다.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알은 세계이다.” 우리가 성장하기 위해선 결국 자기 안의 껍질을 깨야 한다. 『데미안』은 그 껍질을 깨뜨리는 용기를 주는 책이다. 읽고 나면 마음속에서 조용히 울리는 질문 하나가 남는다.

 

“나는 지금, 나답게 살고 있는가?”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