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삼국의 역사를 담고 있다. 물론 정사보다는 야사이다.
다른 역사책들이 그러하듯이 이 책을 통해서 그 시대의 가치관을 엿볼수 있다.
1,2권으로 나누어서 1권에서는 고구려와 백제이야기, 2권에서는 신라이야기를 담고있다.
하지만 특정국가 얘기를 하면서 그 당시 중원의 상황이나 다른 나라들에 대한 이야기도 적절히 담고 있다.
역사는 한국가만으로 이루어지는것이 아니라 다른 국가들과 뒤엉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신화와 설화, 불교, 국가나 왕에 대한 기원에 대한 이야기는 물론이거니와 그외 역사속의 유명한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연개소문이라든지 오이, 마리와 함께 주몽의 심복이었던 협보의 이야기도 볼 수 있다.
다른 책에 비해 더 자세하고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은 이야기 형식으로 되어있어 읽는데 부담이 없어서 좋다.
다른 책에서는 주몽이 유리의 존재 자체를 몰랐었다고 되어 있었는데
이책에서는 주몽이 유리의 존재를 알고 떠나는것으로 되어 있다.
설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것인지라 책마다 그 내용이 다르다.
물론, 이책에서도 설화의 내용이 약간 다르다. 이 책에서는 설화에 대한 약간의 해석도 곁들이고 있다.
저자의 견해도 약간씩 들어가 있다.
저자는 이야기에 대한 “이런 설도 있다” 하는데에 그치기 때문에 이 또한 읽는이에게 부담주지 않을것이다.
한마디로 부담없이 읽을수 있는 책이며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라 하겠다.
저자의 견해와 다른책과는 다른 내용들이 읽어볼만한 가치를 더해주는것이 아닐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용어에 대한 해석이 잘 되어 있지 않다.
각주로 용어에 대한 해석을 달아놓았으면 책을 읽는 이에게 더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