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mm k
001 2210080822053
005 20170215143043
007 cr
008 160517s2016 ulk d a kor
040 a221008
041 akorhjpn
056 a18925
245 00 a미움받을 용기.n2,p사랑과 진정한 자립에 대한 아들러의 가르침h[전자책] /d기시미 이치로,e고가 후미타케 [공]지음 ;e전경아 옮김
256 a전자 데이터
260 a서울 :b인플루엔셜,c2016:f(교보문고,g2016)
500 00 a기시미 이치로의 한자명은 '岸見一郞' 이고, 고가 후미타케의 한자명은 '古賀史健' 임
507 t幸せになる勇氣 : 自己啓發の源流「アドラ-」の敎え. II
516 aePUB
530 a책자형태로 간행: ISBN 9791186560129
600 aAdler, Alfred,d1870-1937
653 a개인심리학a인간관계a미움a자립
700 a안견일랑h岸見一郞,d1956-
700 a고하사건h古賀史健,d1973-
700 a전경아
776 t미움받을 용기,z9791186560129
856 uhttp://ebook.donga.ac.kr/book/bookdetail.asp?book_num=4801186560120
900 a기시미 이치로,d1956-
900 aKishimi, Ichiro
900 a고가 후미타케,d1973-
900 aKoga, Fumitake
940 aShiawase ni naru yuki
950 0 b\21420
미움받을 용기.2,사랑과 진정한 자립에 대한 아들러의 가르침[전자책]
종류
전자책
서명
미움받을 용기.2,사랑과 진정한 자립에 대한 아들러의 가르침[전자책]
발행사항
서울 : 인플루엔셜 2016:
주기사항
기시미 이치로의 한자명은 '岸見一郞' 이고, 고가 후미타케의 한자명은 '古賀史健' 임
관련 URL
이동하기

소장정보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전자자료는 소장사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책소개

동아인 서평

기시미 이치로
김태준
2022-12-04
우리가 의논해야 할 것은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것뿐일세. \’나쁜 그 사람\’ 같은 건 필요 없어. \’불쌍한 나\’도 필요 없고. 자네가 아무리 큰 소리로 떠들어봤자 나는 흘려듣겠지. -미움받을 용기 2, 기시미 이치로 ⋅ 고가 후미타케, p. 82 지울 수 없는 과거라는 말이 있다. 과거의 영향으로 현재의 삶에 제동이 걸리고, 미래에 대한 상상을 하지 못한다는 말을 줄곧 하곤 한다. 과거의 영향의 크기는 천차만별이나 실제로 그런 사람들이 주변에도 존재하고, 나 역시도 어느정도 그러한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현재와 미래는 나의 노력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바뀔 수 있으나 과거는 변함이 없다는 생각 탓에 어떠한 노력의 시도조차 하지 못한다. ​ 아들러의 심리학은 어쩌면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과거에 대한 정의를 180도 바꾼다. 그의 말에 따르면 과거는 정해져 있는게 아니다. 나의 \’지금\’이 과거를 정하는 것이다. 과거의 일을 털어내지 못하고 어쩔 수 없는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사람은 과거에 사로잡힌 것이 아니라 그 과거를 스스로가 필요로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더 가혹하게 말한다면, 비극이라는 안주에 취해서 불행한 \’지금\’의 괴로움을 잊으려 한다는 말이다. ​ 철학자는 이를 삼각주에 빗대어 설명한다. 우리가 볼 수 있는 삼각주의 두 면에는 \’나쁜 그 사람\’과 \’불쌍한 나\’라고 적혀있다. 나를 힘들게 했던 사람에 대해 이야기 하고, 과거의 경험을 되짚으며 자신을 불쌍한 사람으로 여긴다. 가족이나 친구와 이야기를 하거나 고민거리를 털어놓을 때 결국 이 두 가지밖에 말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각화 함으로써 알 수 있다. 공감능력이 뛰어난 친구에게 이러한 주제로 이야기를 하면 함께 분노해주고 위로해주겠지만 그 순간의 일시적인 위로는 될 지언정 본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 삼각주의 또 다른 면에는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적혀있다. 위의 두 면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은 잠깐 마음을 편안하게 할 지 모르나 내일부터 바뀐 나 자신을 만들지 않는다. 다시 상처받으면 위안받고 싶어할것이고 결국 그것은 \’자립\’을 방해할 것이다. 그렇기에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를 논의한다. 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말하는 과거는 \’지금의 내\’가 교묘히 편찬한 이야기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과거에 얽매이지 말자. 눈앞에 있는 나를 아는 것으로 충분하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의문을 품자. 본인의 인생은, 매일의 행동은 전부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라고 가르쳐줄 것. 그리고 결정하는 데 필요한 자료가 있으면 제공해줄 것. 그것이 바람직한 교육자의 자세라네. -미움받을 용기 2, 기시미 이치로 ⋅ 고가 후미타케, p. 138 철학자를 찾은 청년은 3년전, 철학자와의 대화 끝에 아들러의 심리학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고 돌아갔다. 그 후 아들러에 입각해 3년간 교육업에 종사하다 이 심리학은 실생활에서 쓸 수 없는 탁상공론에 불과하다며 철학자를 다시 찾는다. 철학자와 청년은 다시 아들러에 관련된 대화를 시작하며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철학자는 교육자인 청년에 입각해 아이들을 가르칠 때의 마음가짐과 그로 인해 발생할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 철학자는 \’문제행동 5단계\’를 제시하며 올바른 교육을 받지 못한 아이들이 어떠한 단계를 밟아가며 세상에 무기력해지는지를 설명한다. 그 모든 행위는 \’공동체 안에서 특별한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라는 목적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아이들을 교육하는 것은 야단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아이들의 문제행동은 \’나에게 야단맞을 것\’까지 계산하고 한 행동이기 때문이다. 물론 야단맞는 것 자체를 즐기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나는 야단맞을 만한 특별한 행동을 했다\’라는 영웅적 성취감을 즐기는 것이다. 즉, 야단을 맞음으로써 자신이 특별한 존재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 철학자는 아이들이 문제행동을 할 때 부모와 교육자는 \’재판관의 자리를 내려놓으라\’고 말한다. 판결을 내릴 특권이 없다는 말이다. 질책을 포함한 \’폭력\’은 인간으로서의 미숙함을 드러내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질책을 받았을 때, \’아 이 사람은 미숙한 사람이다.\’라는 무의식적인 통찰이 발동한다. 미숙한 사람을 존경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혹은 폭력적으로 위협하는 상대로부터 존경을 받는다고 느낄 수 있을까? 질책과 같은 폭력은 오히려 경멸을 초래한다. ​ 그렇다면 교육자는 어떤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까? 철학자는 아이들의 \’자립\’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말한다. 삶의 방식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는 아이들을 하나의 인격체로 존경함으로써 본인의 인생과 매일의 행동은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라고 가르치는 것이다. 그러다가 아이들이 나중에 후회를 할 것이라는 경험상에서 우러나오는 걱정이 들 수 있다. 그러나 내가 선택해주는 길에서 아이들이 후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 역시 없다. 언제든 도와줄 준비가 되어 있다고 알려주되, 너무 가깝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거리에서 지켜보면 되는 것이다. 비록 그 결정이 실패로 끝난다 할 지라도 아이들은 \’내 인생은 나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배우게 될 것이다. ​ 책에 등장하는 청년은 교육업계에 종사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레 아이들과 교육자의 관점에서 아들러의 심리를 읽게 되었다. 그러나 비단 카운슬러와 카운슬링에만 국한되어 이러한 말이 적용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모든 타인과의 안정한 관계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존경\’이다. 여기서 말하는 존경은 \’우러러 보다\’내지는 \’저렇게 되어야지\’와 같은 존경과는 거리가 있다. 책에서 말하는 존경이란 \’그 사람이 그 사람답게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게 배려하는 것\’이다. 눈앞의 타인을 바꾸려고도 조종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조건을 다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그 사람\’을 인정하는 것이다. 누군가로부터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받는다면, 그 사람은 큰 용기를 얻게 될 것이다. ​ 나를 되돌아보게 된다. 나는 있는 그대로의 타인을 인정할 수 있었나? 그 사람이 그 사람답게 있는 것을 자연스러운 일인 것으로 놔둘 수 있었나. 내가 먼저 존경하지 못하면서 타인이 나를 존경해주길 바라고 있던 것은 아닌가? 독서를 함으로 변함이 없으면 그저 시간낭비에 불과하다. 잠시 밖으로 나가 오늘의 독서에 대해 다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한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