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001 2210080286560
005 20140822163713
008 981007s1998 bnk FB 000a kor
040 a221008
100 a장선화
245 00 a1920-30년대 부산의 공업발전과 도시구조의 변화 /d장선화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1998.
300 a66장 ;c27cm.
502 a학위논문(석사) :b동아대학교 대학원 :c사학과,d1998.8
520 b영문초록 : This article is a study of industrialization, commercial development accompanying it, and the change of city structure from 1920 to 1936 before Enlargement of Administration District. The Pusan industrialization had taken the first step toward light industry, especially food industry with agricultural processed food including rice polishing, response to the industrial policy of Japan Colony. But in the 1930s, the heavy industry had seen a rapid development. The Pusan City that was prior commercial city had changed to the production city with industry following commerce through 1920's. The Pusan Administration(金山府)reduced electric-light rates to improve industry, enlarged water-supply to secure the industrial irrigation, and established the To Jin Kyo(渡津橋)to solve traffic problem in Young-Do, and arranged a road network in this area, then enlarged and rearranged the city structure to ensure a land with enlargement of administration district. Enlargement of administration district was not only a land for industry but also a security for residence area to growing population. And This policy had based on colonial policy for Dual Development for agriculture and industry by Japan Colony.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y was a strong meat for rural dweller to record two times population growth from 180,271 in 1935 to about 400,000 in 1923, especially 123,313 three times growth of Korean people in 1923. It was a signed of rapid shifting from rural to town. It was a Japan lease area, especially center of city with Japanese Occupants that a development was taken in the dwelling structure of Pusan. With continued development, Korean peoples district was reduced to far away mountain hill side, and formed a slum in Ta-Shin-Dong. We can observe that a public open market had increased to a great, progress in the second half 192O's, especially 1930's. It is because of expansion in Pusan City and development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progress, especially a need for distribution of production accompanying industrialization. And looking the range of industry and market, the market shop was concentrated to the area of industry according to industrial classification. That is to say, Commercial power was enlarged gradually from the city center area to the industrial area. The character of Pusan city had transformed from commercial city to commercial and industrial city during 1920-36, equipped with the basic city facilities including harbor, road, water- supply etc.. But this development of city was led by Japans for Japanese, and Korean People did not shared it and fell down slum dwellers.
520 b한글초록 : 이 논문은 1920년부터 1936년 행정구역이 확대되기 이전까지 도시화의 한 요인으로서 부산의 공업화와 그에 따른 상업의 발달과 도시구조의 변화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부산의 공업발전은 식민지 산업정착에 부응하여 정미업 등 농산물 가공단계의 식료품공업 중심으로 한 경공업에 먼저 발달했다. 그러나 3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중화학공업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공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부산은 상업 중심도시에서 1920년대를 거치면서 공업이 상업을 앞지르기 시작하여 공업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공업의 활성화를 위해 부산부는 전기요금을 인하하였고,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수도시설을 확충하였다. 또한 공업지대인 영도쪽의 교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渡津橋를 가설하여 이 일대의 도로망을 정비하고, 용지를 확보하기 위해 1936년에는 행정구역을 확대하는 등 도시구조를 확대 재편하였다. 행정구역의 확대는 공업용지뿐 아니라 증가하는 인구를 위한 거주지 확보라는 차원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공업의 활성화에는 식민지 정책인 농공병진정책이 기반에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1910-18년에 걸친 토지조사사업과 1920년부터 시작한 산미증식계획은 농민들을 토지로부터 분리시켰다. 고 결과 농민들은 더' 이상 농촌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일자리를 찾아 만주, 일본, 그리고 전국 각지의 도시로 이동하게 되었다. 도시의 공업발달은 피폐한 농촌으로부터 도시로 이동하는 흡입요인으로 작용하여, 1953에는 부산의 총인구가 180,271명으로, 1923년 인구에 비해 2배 이상이 증가하였다. 특히 조선인은 123,313명으로 1923년에 비해 약 3배 증가하였다. 부산 도시의 주거구조는 일본전관거류지를 중심으로 한 매립지 일대 즉 도심을 일본인들이 차지하고, 이곳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졌는데 일본인들의 계속된 증가는 주변으로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그로 인해 조선인 거주는 더욱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산쪽으로 올라가게 되었으며, 대신등과 같이 빈민굴을 형성하게 되었다. 공업의 발달에 따른 인구증가로 공설시장의 개설이 1920년대 후반에 증가하고 1930년대에 들어서는 질적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釜山府勢의 확장과 상공업의 발달에 힘입은 것으로 특히 공업의 발달에 따른 생산물의 유통을 위해 시자의 개설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공장의 분포와 상점의 분포를 보면 업종별 공장의 위치에 따라 그 품목을 판매하는 상점도 그 공장 부근에 집중되어가는 현상이 보여 진다. 즉 상권은 매립지를 중심으로 하면서 점차 공업지대쪽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었다. 1920-36년간의 시기는 부산이 도시로서 성격이 상업중심도시에서 상공업중심도시로서 변화해가는 단계이며 항만, 도로, 수도 등 도시제반 시설이 완비되어 갔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의 성장은 일본인 위주로 일본인을 위해 개발되었고 조선인은 도시 시설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도시하부계층으로 전락해 가는 등 부산은 점차 전형적인 식민도시로 형성되어지고 있었다.
653 a부산a도시구조a사학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1581
950 0 a비매품b\3000c(추정가격)
1920-30년대 부산의 공업발전과 도시구조의 변화
Material type
학위논문 동서
Title
1920-30년대 부산의 공업발전과 도시구조의 변화
Author's Name
Publication
부산 : 동아대학교 1998.
Physical Description
66장 ; 27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사학과, 1998.8
Keyword
영문초록 : This article is a study of industrialization, commercial development accompanying it, and the change of city structure from 1920 to 1936 before Enlargement of Administration District. The Pusan industrialization had taken the first step toward light industry, especially food industry with agricultural processed food including rice polishing, response to the industrial policy of Japan Colony. But in the 1930s, the heavy industry had seen a rapid development. The Pusan City that was prior commercial city had changed to the production city with industry following commerce through 1920's. The Pusan Administration(金山府)reduced electric-light rates to improve industry, enlarged water-supply to secure the industrial irrigation, and established the To Jin Kyo(渡津橋)to solve traffic problem in Young-Do, and arranged a road network in this area, then enlarged and rearranged the city structure to ensure a land with enlargement of administration district. Enlargement of administration district was not only a land for industry but also a security for residence area to growing population. And This policy had based on colonial policy for Dual Development for agriculture and industry by Japan Colony. And The development of industry was a strong meat for rural dweller to record two times population growth from 180,271 in 1935 to about 400,000 in 1923, especially 123,313 three times growth of Korean people in 1923. It was a signed of rapid shifting from rural to town. It was a Japan lease area, especially center of city with Japanese Occupants that a development was taken in the dwelling structure of Pusan. With continued development, Korean peoples district was reduced to far away mountain hill side, and formed a slum in Ta-Shin-Dong. We can observe that a public open market had increased to a great, progress in the second half 192O's, especially 1930's. It is because of expansion in Pusan City and development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progress, especially a need for distribution of production accompanying industrialization. And looking the range of industry and market, the market shop was concentrated to the area of industry according to industrial classification. That is to say, Commercial power was enlarged gradually from the city center area to the industrial area. The character of Pusan city had transformed from commercial city to commercial and industrial city during 1920-36, equipped with the basic city facilities including harbor, road, water- supply etc.. But this development of city was led by Japans for Japanese, and Korean People did not shared it and fell down slum dwellers. / 한글초록 : 이 논문은 1920년부터 1936년 행정구역이 확대되기 이전까지 도시화의 한 요인으로서 부산의 공업화와 그에 따른 상업의 발달과 도시구조의 변화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부산의 공업발전은 식민지 산업정착에 부응하여 정미업 등 농산물 가공단계의 식료품공업 중심으로 한 경공업에 먼저 발달했다. 그러나 3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중화학공업이 강세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공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부산은 상업 중심도시에서 1920년대를 거치면서 공업이 상업을 앞지르기 시작하여 공업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공업의 활성화를 위해 부산부는 전기요금을 인하하였고,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수도시설을 확충하였다. 또한 공업지대인 영도쪽의 교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渡津橋를 가설하여 이 일대의 도로망을 정비하고, 용지를 확보하기 위해 1936년에는 행정구역을 확대하는 등 도시구조를 확대 재편하였다. 행정구역의 확대는 공업용지뿐 아니라 증가하는 인구를 위한 거주지 확보라는 차원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공업의 활성화에는 식민지 정책인 농공병진정책이 기반에 깔려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1910-18년에 걸친 토지조사사업과 1920년부터 시작한 산미증식계획은 농민들을 토지로부터 분리시켰다. 고 결과 농민들은 더' 이상 농촌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일자리를 찾아 만주, 일본, 그리고 전국 각지의 도시로 이동하게 되었다. 도시의 공업발달은 피폐한 농촌으로부터 도시로 이동하는 흡입요인으로 작용하여, 1953에는 부산의 총인구가 180,271명으로, 1923년 인구에 비해 2배 이상이 증가하였다. 특히 조선인은 123,313명으로 1923년에 비해 약 3배 증가하였다. 부산 도시의 주거구조는 일본전관거류지를 중심으로 한 매립지 일대 즉 도심을 일본인들이 차지하고, 이곳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졌는데 일본인들의 계속된 증가는 주변으로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그로 인해 조선인 거주는 더욱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산쪽으로 올라가게 되었으며, 대신등과 같이 빈민굴을 형성하게 되었다. 공업의 발달에 따른 인구증가로 공설시장의 개설이 1920년대 후반에 증가하고 1930년대에 들어서는 질적 양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釜山府勢의 확장과 상공업의 발달에 힘입은 것으로 특히 공업의 발달에 따른 생산물의 유통을 위해 시자의 개설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공장의 분포와 상점의 분포를 보면 업종별 공장의 위치에 따라 그 품목을 판매하는 상점도 그 공장 부근에 집중되어가는 현상이 보여 진다. 즉 상권은 매립지를 중심으로 하면서 점차 공업지대쪽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었다. 1920-36년간의 시기는 부산이 도시로서 성격이 상업중심도시에서 상공업중심도시로서 변화해가는 단계이며 항만, 도로, 수도 등 도시제반 시설이 완비되어 갔던 시기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의 성장은 일본인 위주로 일본인을 위해 개발되었고 조선인은 도시 시설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도시하부계층으로 전락해 가는 등 부산은 점차 전형적인 식민도시로 형성되어지고 있었다.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911.89 장54천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0313
Call no.
911.89 장54천 =2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0314
Call no.
911.89 장54천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0899
Call no.
911.89 장54천 =3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Full menu